휘수 Hwisu, 구름 북소리
김기택 시모음 본문
1957년 경기도 안양
중앙대 영문과 졸업
1989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시 「꼽추」당선
시집, 『태아의 잠』(1992), 『바늘구멍 속의 폭풍』(1994)
『사무원』(1999), 『소』(2005)
김수영문학상(1995), 현대문학상(2001), 이수문학상(2004), 미당문학상(2004) 수상
시와 시학 주간
천년 동안의 죽음
안데스산맥에서 발굴되었다는
한 잉카족 사내의 미라는
눈을 감고 온몸을 꼭 웅크린 채 얼어 있다
머리 가죽은 닳아서 해골이 드러나 있고
입고 있던 옷은 다 삭아
겨드랑이와 음부에만 조금씩 털처럼 붙어 있다
천년 이상을 죽어 있었던 그 육체는
이제는 시체가 아니라 폐허처럼 보인다
살은 거의 썩지 않았으며 다만
고대 신전의 돌기둥처럼 닳았거나 부서져 있을 뿐이다
그 사내는 죽음 속에 한창 익어가고 있다
질기고 고집세고 고약한 냄새만 풍기던 육체는
익을수록 흙의 색깔과 향기에 가까워지고 있다
음식물을 집어넣고 분비물을 배설하던 그 폐허에는
이끼와 나무 그리고 들풀의 뿌리들이 기웃거리고
갈비뼈와 심장과 내장 사이로는
뿌리를 유혹하는 자양분들이 가득차 있다
그러나 완전히 흙이 된 것은 아니어서
사내는 아직도 추위에 휘어진 등뼈 안에 들어 있다
흙벽처럼 조금씩 무너져 있는 무릎과 팔꿈치에는
돌이 되다 만 뼈들이 드러나보인다
천년이 넘도록 시간과 추위와 어둠만 들어 있던 얼굴은
한 덩어리의 흙처럼 생각 없고 꿈 없는 잠에 빠져 있다
푸른 잎과 붉은 꽃들이 곧 그 얼굴에서 피어날 것 같다
얼굴은 이미 풀내음 꽃내음에 한껏 취해 있다
하품 |
봄날 할머니들이 아파트 앞에 모여 햇볕을 쪼이고 있다 굵은 주름 잔주름 하나도 놓치지 않고 꼼꼼하게 햇볕을 채워넣고 있다 겨우내 얼었던 뼈와 관절들 다 녹도록 온몸을 노곤노곤하게 지지고 있다 마른 버짐 사이로 아지랑이 피어오를 것 같고 잘만 하면 한순간 뽀얀 젖살도 오를 것 같다 할머니들은 마음을 저수지마냥 넓게 벌려 한철 폭우처럼 쏟아지는 빛을 양껏 받는다 미처 몸에 스며들지 못한 빛이 흘러넘쳐 할머니들 모두 눈부시다 아침부터 끈질기게 추근거리던 봄볕에 못 이겨 나무마다 푸른 망울들이 터지고 할머니들은 사방으로 바삐 눈을 흘긴다 할머니 주름살들이 일제히 웃는다 오오, 얼마만에 환해져 보는가 일생에 이렇게 환한 날이 며칠이나 되겠는가 눈앞에는 햇빛이 종일 반짝거리며 떠다니고 환한 빛에 한나절 한눈을 팔다가 깜빡 졸았던가? 한평생이 그새 또 지나갔던가? 할머니들은 가끔 눈을 비빈다 |
풀벌레들의 작은 귀를 생각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