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수 Hwisu, 구름 북소리

공간과 혼잡 (3) 본문

OUT/읽고싶은글

공간과 혼잡 (3)

휘수 Hwisu 2006. 5. 3. 00:42
공간과 혼잡 (3)

혼잡은 중대한 사회적인 기능을 분열시키고, 그 결과 무질서한 상태에 이르게 되며 결국에는 붕괴가 일어나 멸망에 이르게 된다.

동물행동학자 존 칼훈(John Calhoun)은 쥐의 실험을 통해서 행동의 싱크(behavioral sink) 라는 용어를 고안해 냈다.
‘싱크’란 더러운 물건이나 폐물을 담는 통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말이다. 행동의 싱크는 한 집단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병리 상태를 악화시킨다. 우리의 가옥, 구애, 성행위, 생식 작용, 그 밖의 모든 사회 조직을 붕괴시킨다.

혼잡하지 않은 상태에서 4개의 우리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경우 투쟁을 거쳐 사회적인 서열이 확립된다. 실험에서 두 마리의 우세한 숫쥐가 Ⅰ과 Ⅳ의 영역을 차지하고 8∼10마리의 암쥐를 거느리는 자연 집단을 형성했다. 나머지 숫쥐는 Ⅱ.Ⅲ의 우리에 분산되었다. 마리 수가 60마리를 넘으면서 쥐들이 먹을 수 있는 기회는 최대한도로 줄어들었다. 먹이 그릇을 철망 뒤에 두어 먹이를 꺼내는 데에 시간이 걸리도록 설계되어졌기 때문이다. Ⅱ.Ⅲ 우리의 먹이 그릇의 이용량이 Ⅰ.Ⅳ 보다 3∼5배 늘어나면서 싱크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정상적인 행동 양식의 붕괴가 일어난다.

실험에 사용된 노르웨이 쥐의 교미에는 고정된 행동이 있다.
숫쥐들은 배우자를 선택하려면 3가지의 기본적인 구별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첫째, 암. 수의 구별, 둘째, 성숙, 미성숙을 알아야 하고, 셋째, 발정기에 있는 암컷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암쥐는 숫쥐가 다가오면 천천히 쥐구멍으로 뛰어가서 몸을 돌려 숫쥐를 살핀다. 숫쥐는 쥐구멍 입구에서 얼마 동안 춤을 춘다. 춤이 끝나면 암쥐는 쥐구멍을 떠나 적당한 장소를 정해 교미를 한다. 교미를 하는 동안 숫쥐는 암쥐의 목을 이빨로 부드럽게 문다.

싱크가 발생하면 모든 것은 변하게 된다.

1) 3마리 정도의 공격적이고 우세한 쥐는 정상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2) 수동적인 수컷은 싸움과 교미를 피한다.
3) 지나치게 활동적인 하위 층의 숫쥐들은 암쥐들을 추적하는데 시간을 소비한다. 쫓아다니다 보니 예의를 차릴 여유가 없으며, 쥐구멍 입구에서 춤을 추는 대신 암놈에게 여유를 주지 않기 위하여 구멍 안으로 따라 들어갔다. 교미 전에 2∼3초 동안 암쥐의 목을 물었으나 수분 동안으로 늘어난다.
4) 어떤 숫놈들은 발정이거나 아니거나 수컷, 암컷, 어린 쥐 늙은 쥐 관계없이 아무에게나 덤벼들어 교미를 할려고 한다.
5) 몇몇 숫쥐들은 사회적, 성적 교섭에서 제외되고, 주로 다른 쥐들이 잠들었을 때 외부로 나간다.
6) 암쥐들은 자기 새끼들을 가려낼 수가 없다.
7) 지역을 확보할 수 없는 숫쥐들은 공간을 시간으로 대신한다. 따라서 먹이통 주변에서 격렬한 싸움이 일어나며 사회적 지위도 매우 불안정하게 된다.
8) 싱크 상태가 절정일 때 이유기까지 살아남은 새끼 쥐들은 겨우 1/4밖에 안되었다. 유산률이 증가하고, 암쥐들은 자궁, 난소, 나팔관 등의 장애로 죽기 시작한다. 위장, 간장, 부신도 비대해졌거나 병에 걸린 상태였고, 극도의 스트레스 증세를 보였다.
9) 공격 충동을 억제할 수가 없어서 이유도 예측할 수 없는 대대적인 싸움이 벌어져 서로의 꼬리를 물어뜯는다.

이처럼 혼잡은 중대한 사회적인 기능을 분열시키고, 그 결과 무질서한 상태에 이르게 되며 결국에는 붕괴가 일어나 멸망에 이르게 된다.
싱크 상태에서 쥐들의 성행동 관습은 파괴되었고, 무분별한 성행동과 새디즘이 발생되었다. 새끼를 기르는 것마저도 혼란 상태에 빠졌으며, 사회적 행동은 파괴되어 사회적인 순위와 질서가 무시되었다.
우리들은 인간적이라는 말이 동물적 본능에 가장 근접해 있다는 뜻이라는 것을 잊을 때가 많다. <끝>

한경수/건축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