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수 Hwisu, 구름 북소리
[스크랩] TV에서 방영되고 있는 "서동요"의 배경설화 본문
- 서동요 -
TV에서 방영되고 있는 서동왕자와 선화공주의 설화!
그리고 한국 사학계에서 의견이 분분한 백제무왕의 특이한 출생과 신분, 성장과정,
그리고 치열했던 당시 백제 왕위계승투쟁,
국경을 넘은 러브스토리와 백제 신라 양국의 궁중 이면사를 흥미 있게 극화하여 방영하고 있다.
신라, 고구려와 달리 삼국 중 남아있는 유적과 사료가 가장 부실하고
학문적 연구 성과가 가장 미흡한 백제 왕국, 특히 백제는 대부분의 자료가 소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과 중국 등의 사료에 그 문화와 기술의 위대함이 전해지고 있다.
드라마에서는 백제가 어떤 기술과 문화를 향유했는지,
왜 문화와 기술을 중시했는지,
또 당시에 첨단의 기술과 문화를 어떻게 유지할 수 있었는지를
등장인물의 행적을 따라 생생하게 보여준다고 한다.
서동요에 대한 배경설화와 여러 의미를 살펴 본 후 드라마를 시청하시길 바라면서...
서동요의 배경설화에 대해 알아보자
백제의 제30대 무왕의 이름은 장(璋)이다. 그 어머니는 서울 남쪽의 못가에 집을 짓고 홀로 살았는데,
못의 용과 관계하여 장을 낳았다.
어릴 때 이름은 서동으로 재주와 도량이 커서 헤아리기 어려웠다.
항상 마를 캐다가 파는 것으로 생업을 삼았으므로 사람들이 서동이라고 이름 지었다.
신라 진평왕의 셋째 공주인 선화가 뛰어나게 아름답다는 말을 듣고는
머리를 깎고 서울로 가서 마을 아이들에게 마를 먹이니 이내 아이들이 친해져 그를 따르게 되었다.
이에 동요를 지어 아이들을 꾀어서 부르게 하니 그것이 ⌜서동요⌟이다.
선화공주(善化公主)님은
남 몰래 짝 맞추어 두고
薯童 방을
밤에 알을 안고 간다 -김완진 해독 -
이 동요가 서울에 가득 퍼져서 대궐 안에까지 들리니
백관들이 임금에게 심히 간해서 공주를 먼 곳으로 귀양 보내게 하였다.
장차 떠나려 하는데 왕후는 순금 한 말을 주어 노자로 쓰이게 했다.
공주가 귀양 터에 도착하려는데 도중에 서동이 나와 공주에게 절하면서 모시고 가겠다고 하였다.
공주는 그가 어디서 왔는지는 알지 못했지만 그저 유연히 믿고 좋아하였다.
같이 살게 된 뒤에 서동의 이름을 알고, 동요가 맞은 것도 알았다.
함께 백제로 와서 왕후가 준 금을 꺼내 놓고 살아 나갈 계획을 세우려 하자 서동이 크게 웃고 말했다.
“이것이 무엇이오?”
공주가 말했다.
“이것은 황금이니 백년의 부를 누릴 것입니다.”
“나는 어릴 때부터 마를 캐던 곳에 황금을 흙덩이처럼 쌓아 두었소.”
공주는 이 말을 듣고 크게 놀라면서 말했다.
“그것은 천하의 가장 큰 보배이니 그대는 지금 그 금이 있는 곳을 아시면
그것은 우리 부모님이 계신 대궐로 보내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서동은 허락하고 금을 모아 산더미처럼 쌓아 놓고
용화산 사자사의 지명법사에게 가서 이것을 보낼 방법을 물으니 법사가 말했다.
“내가 신통한 힘으로 보낼 것이니 금을 이리 가져오시오.”
그들은 부모에게 보내는 공주의 편지와 함께 금을 사자사 앞에 갖다 놓았다.
법사는 신통한 힘으로 하룻밤 동안에 그 금을 궁중으로 보냈다.
진평왕은 그 신비스러운 변화를 이상히 여겨 서동을 존경했으며,
항상 편지를 보내어 안부를 물었다.
서동이 이로부터 인심을 얻어, 드디어 왕위에 올랐다.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무왕>
첫 방송 내용은 서동의 출생의 비밀을 보여줬습니다. 백제의 제의를 하루 앞둔 어느 날 독무를 연습하던 무선공녀 연가모의 춤추는 모습에 반해 위덕왕은 그녀와 하룻밤을 보내게 됩니다. 그러나 위덕왕은 제의를 앞두고 금기를 저질렀다며 반대 세력으로부터 심한 탄핵을 받게 됩니다. 연인이 있었던 연가모는 궁에서 쫓겨나고 혼란에 빠집니다. 임신사실을 알게 된 왕은 오색야명주를 주며 아들을 낳으면 전하라고 말합니다. 이 노래는 백제의 무왕이 신라의 선화공주를 아내로 맞이하기 위해 지은 민요체 향가 작품이다. 개인적 서정을 노래하기보다는 아이들에 의해 불렸다는 점에서 민요적 성격이 강하며, 앞으로 있을 일을 예견했다는 점에서 참요적 성격이 있다. 매우 엄격한 신분사회에서 발생한 노래라는 점에 주목해 보면, 서동은 처음에는 마를 팔아 생계를 유지하는 미천한 신분이었지만, 선화 공주와 결혼한 후 진평왕의 신임을 얻고 백제의 왕으로 등극하게 된다. 이러한 서동의 급격한 신분상승은 이 이야기의 주인공인 무왕의 능력이 뛰어났음을 밝히는 증거물의 효과를 지니며, 한편으로는 결혼으로 신분적 차별이라는 사회의 장벽을 뛰어넘고자 하는 하층민의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노래의 창작 배경을 주목해 보면, 서동은 이 노래를 의도적으로 전파함으로써 자신의 욕망인 선화공주와의 결혼을 이루었다. 많은 사람들이 말을 하면 그것이 쇠도 녹인다는 점을 생각할 때, 서동이 마를 이용해 어린 아이들에게 서동요를 가르친 행위는 매우 의미 있는 행동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서동이 선화공주의 도움으로 진평왕의 신임과 백성들의 인심을 얻어 왕위에까지 오르게 되었다는 결과로 알 수 있듯, 언어의 주술성을 효과적으로 이용해 성공을 거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또 설화에 나타나 있듯이 연못의 용을 아버지로 두고, 무수한 금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것을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는 등의 비범함을 보인다는 점에서 서동의 영웅성을 찾을 수 있다. ※ ‘요’ 와 ‘가’에 대해서 알아보면, . ‘요’ : -지배계층이 부르는 노래 -악기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노래 -일정하게 정해진 곡에 따라 부르는 노래 . ‘가’ : -피지배층이 부르는 노래 -악기없이 부르는 생활속에서 부르는 노래 -정해진 악곡 없이 흥에 따라 부르는 노래 → 후대에 오면서 ‘가’의 의미가 넓어지고 일반적으로 쓰이게 되었다. * 참요 : 시대의 변천상이나 어떤 정치적인 징후를 암시하는 민요. |
|
- youngeim-
'OUT > 요것조것수납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 허준박물관 ' 을 아십니까? (0) | 2006.01.23 |
---|---|
[스크랩] 노루귀 보러가자.. (0) | 2006.01.23 |
[스크랩] 붓으로 지은 서궐... (0) | 2006.01.21 |
[스크랩] 나니아 연대기 (0) | 2006.01.21 |
[스크랩] 씨디 굽기의 모든것 (0) | 2006.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