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수 Hwisu, 구름 북소리
낡은 집 / 이용악; 거미 / 박성우 본문
낡은 집-이용악(<낡은집>1938)
날로 밤으로
왕거미 줄치기에 분주한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이 집에 살았다는 백성들은
대대손손에 물려줄
은동곳도 산호관자도 갖지 못했니라.
재를 넘어 무곡을 다니던
당나귀
항구로 가는 콩실이에 늙은 둥글소
모두 없어진 지 오래
외양간엔 아직 초라한 내음새 그윽하다만
털보네 간 곳은
아모도 모른다.
찻길이 뇌이기 전
노루 멧돼지 쪽제비 이런 것들이
앞뒤 산을 마음 놓고 뛰어다니던 시절
털보의
세째아들은
나의 싸리말 동무는
이 집 안방 짓두광주리 옆에서
첫울음을 울었다고 한다.
"털보네는 또 아들을
봤다우
송아지래도 불었으면 팔아나 먹지."
마을 아낙네들은 무심코
차그운 이야기를 가을 냇물에 실어보냈다는
그날
밤
저릎등이 시름시름 타들어가고
소주에 취한 털보의 눈도 한층 붉더란다.
갓주지 이야기와
무서운 전설 가운데서
가난 속에서
나의 동무는 늘 마음졸이며 자랐다.
당나귀 몰고 간 애비 돌아오지 않는 밤.
노랑고양이 울어 울어
종시 잠
이루지 못한 밤이면,
어미 분주히 일하는 방앗간 한 구석에서
나의 동무는
도토리의 꿈을 키웠다.
그가 아홉살 되던
해
사냥개 꿩을 쫓아다니는 겨울
이 집에 살던 일곱 식솔이
어데론지 사라지고 이튿날 아침
북쪽을 향한 발자옥만 눈 우에
떨고 있었다.
더러는 오랑캐령 쪽으로 갔으리라고
더러는 아라사로 갔으리라고
이웃 늙은이들은
모두 무서운 곳을
짚었다.
지금은 아무도 살지 않는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제철마다 먹음직한 열매
탐스럽게 열던 살구
살구나무도 글거리만 남았길래
꽃피는 철이 와도 가도 뒤울안에
꿀벌 하나 날아들지 않는다.
거미 / 박성우(2002)
거미가 허공을 짚고 내려온다
걸으면 걷는 대로 길이 된다
허나 헛발질 다음에야 길을 열어주는
공중의
길, 아슬아슬하게 늘려간다
한 사내가 가느다란 줄을 타고 내려간 뒤
그 사내는 다른 사람에 의해 끌려 올라와야 했다
목격자에 의하면
사내는
거미줄에 걸린 끼니처럼 옥탑 밑에 떠 있었다
곤충의 마지막 날갯짓이 그물에 걸려 멈춰 있듯
사내의 맨 나중 생(生) 이
공중에 늘어져 있었다
그 사내의 눈은 양조장 사택을 겨누고 있었는데
금방이라도 당겨질 기세였다
유서의 첫 문장을 차지했던
주인공은
사흘만에 유령거미같이 모습을 드러냈다
양조장 뜰에 남편을 묻겠다던 그 사내의 아내는
일주일이 넘어서야 장례를
치렀고
어디론가 떠났다 하는데 소문만 무성했다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아이들은
그 사내의 집을 거미집이라 불렀다
거미는 스스로 제 목에 줄을 감지 않는다
〈거미〉의 가장 큰 장점은, 여백을 둘 줄 아는 점이다.
시인은 시를 통해 삶에 질문을 던지는 방법을
터득하고 있다.
사내를 자살로 이끈 보이지 않는 외압에 대해 숙고하는 것은 독자의 몫으로 남겨진다.
'OUT > 詩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래 / 이승수;집 속엔 길이 없다 / 김규진;낙엽 한 잎 - 용역 사무실을 나와서 / 최 운 (0) | 2006.02.21 |
---|---|
ㅎ방직공장의 소녀들 / 이기인; 건봉사 불이문 / 이덕환 (0) | 2006.02.21 |
이발관 그림을 그리다 / 안도현; 이발소 그림처럼 / 조정 (0) | 2006.02.21 |
[스크랩] * 續 안개 /奇炯道 (0) | 2006.02.21 |
장지(葬地)에서 / 유장균 (0) | 2006.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