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휘수 Hwisu, 구름 북소리
테라스가 아름다운 북카페 본문
![]() |
![]() |
삼청동 갈림길의 한가운데 큼직하게 자리한 덕에 진선 북카페(대표 허선)는 오가는 이의
눈도장을 많이 받는 곳이다. 이 지역 갤러리나 맛집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이정표가 되기도 한다. 한발 들어서면 파라솔 펼쳐놓은 야외 테이블이
손님을 맞는데, 오래된 듯한 나무 의자, 그리고 가지를 깊게 드리운 나무가 바깥 풍경을 금세 고즈넉하게 바꿔놓는다. 야외 테이블만큼 인기 있는
자리는 2층 창가. 경복궁 돌담길과 인근 한옥이 내려다보인다. 창의 반은 하늘이, 또 반은 초목이 차지하니 여기에 앉아 있으면 도심을 떠![]() 이곳은 원래 진선출판사 사옥으로 쓰였던 건물로 97년 찻집을 열면서 허창성 회장이 이곳에 자신의 서재를 기증했다. 문학, 역사, 경영, 여행, 사진 등 다양한 분야의 책 3천여 권과 각종 정기 간행물이 벽면 곳곳에 자리하고 있다. 같은 건물에 위치한 갤러리 진선에서는 북아트와 예술 제본을 중심으로 한 기획전이 열린다. 앞으로 일반인과 어린이를 위한 북아트 강좌나 교양 강의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각종 커피와 차, 와인뿐 아니라 카레 돈가스, 버섯 볶음밥, 참치 샌드위치 등 점심 메뉴도 인기다. 영업시간 오전 11시~오후 11시 | 위치 삼청동 청와대 후문 근처 삼거리 | 문의 02-723-5977 |
![]() |
![]() |
북카페 라임(대표 임나라)의 야외 목조 데크는 한적한 전원 풍경을 연상시킨다.
아기자기한 화초와 정성껏 가꾼 나무가 계절마다 다른 풍경을 연출하고 파라솔은 가을 햇살을 책 읽기 좋은 조도로 만들어준다. 분당 로데오 거리
한복판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만큼 평화롭고 한적하다. 이곳에서 책을 읽으면 카페 이름처럼 시가 한 구절 떠오를 것 같다. 카페 아래층에 위치한 서현문고에서 정기 간행물과 신간을, 또 지경사에서 아동 서적 ![]() 영업시간 오전 11시~오후 11시 | 위치 분당선 서현역 5번 출구 서현문고 건물 5층 | 문의 031-708-8682 |
![]() |
![]() |
“책은 읽을 수도 있지만 볼 수도 있지요. 서양에는 ‘보는 책visual
books’이란 말이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아직 개념조차 없습니다.” visual books를 뜻하는 이름의 북카페 북스는 서울예대 김호근 교수가
꾸민 공간이다. 미국과 유럽 등지를 여행하며 모은 사진, 건축, 회화, 공예, 인테리어 등 다양한 예술 분야의 서적 1만여 권을 전시,
판매한다. “비주얼 북은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하는 데다 직접 안을 열어보아야 하니까 인터넷 구매가 망설여지거든요. 여기서는 이것저것 꼼꼼하게
비교해보고 살 수 있어서 좋아요.” 사진을 공부하는 대학생 김미라 씨는 외국의 고급 사진집을 마음껏 볼 수 있어서 이곳에 자주 들른다고 한다.
학술적인 목적이 아닌 차 한 잔 마시며 눈을 즐겁게 할 요량으로 들르는 손님도 많다. 남미의 오지나 프로방스 곳곳의 풍경을 담은 사진집 등은 특히 젊은 여성들에게 인기가 많다. 서재 한쪽에 걸린 “잘 쓰여진 책은 마술 융단과 같아서 가볼 수 없는 세계까지 우리를 인도한다”는 문구를 증명하는 듯하다. 한편 서가의 일부를 전시 공간으로 꾸며놓음으로써 국내외 젊은 작가들의 기획전을 열어 시각예술인들의 활발한 교류의 장이 되고 있다. 입장료 5천 원을 내면 차 한 잔이 제공되고 원하는 시간 만큼 머무를 수 있다. 영업시간 오전 10시~오후 8시 | 위치 인사동 사거리 스타벅스 맞은편 | 문의 02-737-328 |
![]() |
![]() |
이곳에서는 마로니에 북스가 수입하는 독일의 예술 관련 출판사 타셴의 책을 전시,
판매한다. 1천여 권의 아트북을 카페 안에서 자유롭게 보고 난 뒤 구매를 결정할 수 있어 디자인럭플釋 광고 분야 전문가들이 많이 찾는다. 시대별
유명 예술가와 작품에 대해 설명하는 뉴 베이식 아트New Basic Art 시리즈, 미술ㆍ사진ㆍ건축ㆍ디자인ㆍ응용미술 등 예술의 전 영역을
글보다는 사진과 그림으로 설명하는 것이 특징인 아이콘스Icons 시리즈 등 타셴에서 발행하는 거의 모든 책을 찾아볼 수 있다. 이 중 일부
도서는 20% ![]() 평일 점심에는 창가에서 여유롭게 식사를 즐기려는 손님이 많다. 샌드위치에 샐러드가 포함된 런치 세트가 가장 인기. 이 밖에 부드러운 빵에 연유를 발라 살짝 구운 ‘영국 연유 토스트’ (5천 원)도 차와 곁들이기 좋은 메뉴다. 저녁에는 프랑스렝謙뻗?틔칠레산의 다양한 와인이 저렴한 가격에 판매된다. 질 좋은 치즈가 듬뿍 들어 있는 ‘치즈 샐러드’ (1만 5천 원) 및 ‘두부와 그린 샐러드’ (1만2천 원)는 와인과 함께 많이 주문하는 메뉴다. 영업시간 오전 11시 30분~오후 11시 | 위치 4호선 혜화역 1번 출구 아이리버 매장 골목에서 직진 | 문의 02-3673-4115 |
![]() |
![]() |
어린아이와 함께 편하게 방문할 수 있는 카페가 있다. 그림 동화책을 소리 내어 읽어줄
수 있는 그림책정원 초방(대표 신경숙)은 아이와 함께 오랜 시간을 보내기에 유익한 곳이다.![]() 아동 서적 출판사이기도 한 초방은 그림책 작가들의 공간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매주 그림책 관련 세미나가 열리는데, 이메일로 회원 가입을 하면 누구라도 참여할 수 있다. 한 달에 1~2회 삽화전이 열리기도 한다. 어른과 아이가 함께 감상할 수 있는 전시가 주로 기획된다고. 영업시간 오전 11시~오후 10시 | 위치 이화여대 후문 건너편 | 문의 02-392-0277, www.chobang.com |
![]() |
![]() |
북카페 반디가 자리한 목조 건물은 멀리서부터 눈에 띈다. 건물 단면이 사각이 아닌
나뭇잎처럼 뾰족한 타원형이다. 물리학도 출신으로 조경학과 건축을 공부한 헬렌 박 씨가 설계한 이곳은 개성 있는 건축물이 모여 있기로 유명한
헤이리에서도 명물이다. 외형이 독특한 데다 아담한 크기에 바랜 듯한 색조 덕분인지 왠지 문을 열고 안을 기웃거리고 싶게 만든다. 안으로 들어서면 어느 애서가의 서재를 방문한 느낌이다. 4천여 권의 책이 카페 벽면을 에두르고 있다. 전방위 인문학렛뭡?서적부터 오래된 정기 간행물까지 구비 종목이 비범하다. 언론인이자 시인인 이종욱 씨가 자신의 소장본 수만 권 중에서 아끼는 일부를 사람들과 공유하고자 꾸민 공간이기 때문이다. “평생을 끼고 살아온 책이지만 나이가 드니 그마저도 천덕꾸러기가 되더이다. 이제는 나보다 더 이 책들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돌아가야겠지요.” 특히 희귀본, 절판본 등이 많아 초판본을 모으는 사람들과 도서관에서도 찾기 힘든 책이 필요한 작가들은 이곳에서 해 저무는 줄도 모르고 책장을 뒤적인다고 한다. 도서 판매도 하는데 근래의 책은 정가의 40~50% 가격으로, 절판본은 정가 이상의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 메뉴판을 보면 커피 종류만 한 페이지를 채운다. “하루에 3~4잔씩 마실 정도로 가족 모두가 커피를 좋아해요. ![]() |
![]() |
![]() |
창가를 뺀 벽면이 모두 높다란 체리목 책꽂이로 이루어진 카페. 커피 한 잔이 절로
생각난다. 고풍스러운 대학 도서관을 연상시키는 프린스턴 스퀘어는 대전지법 판사로 재직했던 임동진 변호사가 아이비리그 대학가 분위기로 꾸민
공간이다. 그가 매주 직접 20권 이상의 신간을 들여오며, 각종 백과사전류부터 문학, 역사, 예술 등 정기 간행물까지 구간과 신간 합쳐 5천여
권이 구비돼 있다. 신촌 지역에서 대학을 다녔다는 주부 박주향 씨는 “이곳에서 주로 대학 동창을 만나는데, 1시간 전쯤 미리 와서 책을 봐요.
<이코노미스트><내셔널 지오그래픽> 등 해외 정기 간행물을 보기 위해서라도 한 달에 한두 번은 들르지요”라고 말한다.
1층은 하루 종일 아늑한 분위기가 유지된다. 그래서 오랜 시간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 사람들도 꽤 많다. 지하에는 널찍한 세미나 룸이 마련되어 있다. 빔 프로젝터, 무선 인터넷 서비스, 프린터 등을 갖추고 있어 정기 모임이나 각종 세미나 장소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음료를 주문하면 직접 구운 레몬, 초코칩, 치즈 쿠키 등이 함께 나온다. 향긋한 마드렌, 달콤한 슈거볼, 각종 조각 케이크 등도 인기리에 판매된다. 영업시간 오전 10시~오후 11시 | 위치 이화여대 후문 건너편 하늬솔 빌딩 오른쪽 | 문의 02-393-5171 |
![]() |
![]() |
대학로 번화가를 비껴간 곳에 자리한 시가 있는 풍경(대표 김경민)은 문인들의 아지트로도 유명하다. 한때는 작가 누구를 만나려면 이곳에서 기다리면 된다는 말이 나돌 정도였다. 조병화 시인 생전에 그의 서재가 근처 혜화 로터리에 있었던 터라 왕래가 잦았고, 소설가 윤후명 씨, 마광수 교수 등을 비롯해 연극인 김병춘 씨, 가수 김추자 씨 등도 가끔 머물곤 한다. 이곳을 드나들던 문화계 인사들이 자신의 서재를 정리할 때마다 ‘시가 있는 풍경’ 서재는 선반을 늘려갔다. 문을 연지 20년이 지난 현재는 시집을 중심으로 한 문학 서적이 2만여 권 자리해 있다. 테이블과 소파 및 내부 꾸밈새는 개업 당시인 80년대를 연상시켜 정겨움이 느껴진다. 한쪽에는 음향 시설이 설치된 작은 무대와 피아노가 있다. 이곳에서 출판 기념 행사가 열리거나 작가와의 대화 시간이 마련되기도 한다. 카페 위층에서는 한국시문화회관에서 주최하는 문예교실도 진행되니,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www.penart.co.kr)를 참조하면 된다. 영업시간 오전 10시~오후 10시, 일요일 휴무 | 위치 지하철 4호선 혜화역 1번 출구에서 마을버스 8번 타고 구민 생활관에서 내려 길 건너편 건물 지하 | 문의 02-764-4323 |
'OUT > 요것조것수납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오래하시는분들 따라해보세요 (0) | 2006.05.02 |
---|---|
[스크랩] 우리말 속의 일본말 (0) | 2006.04.29 |
이것아, 어째 그런 기술을 써먹었느냐 / 백승종 (0) | 2006.04.28 |
구례 산동면 일대 산수유를 품다 / 오마이뉴스 (0) | 2006.04.26 |
마님 / 엠블, green desert (0) | 2006.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