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수 Hwisu, 구름 북소리
즐거운 오독(誤讀) / 홍일표 본문
길가에 쪼그려 앉은 허리 접힌 노파,
옆을 지나다 팔고 있는 물건을 힐끔 바라본다
가물치, 가물치 새끼다
순간, 길이 꿈틀 한다
걸음을 멈추고 가까이 가서 본다
플라스틱 바구니엔 쪼그라든 가지 몇 개,
길가의 코스모스가
살랑살랑 웃으며 고개를 흔든다
가지와 가물치 사이를 오가는 동안
길은 저만치 흘러가고,
나는 사라진 가물치를 찾고 있다
눈 깜짝할 사이 가지가 가물치로,
가물치가 가지로, 그렇게 전생과 후생을 다 살았다
산위에 걸터앉은 해는
취한
눈으로 이승 너머를 기웃거리고,
나는 어느새 개망초 위를 날아가는 한 마리 잠자리였다
<문학사상> 2006년 4월호
이달의 문제작(『문학사상』, 2006년 5월호)
경계를 지우는 인식과 감각
유성호(문학평론가/한국교원대 교수)
홍일표 시인의 시편은 거리에서 바라본 경계 해체의 순간을 담고 있다. 시인은 길가에 쪼그려 앉은 한 노파가 “가물치, 가물치 새끼”를 팔고 있는 것을 “힐끔 바라본다”. 무심히 가던 길이었는데 그 “가물치 새끼”의 풍경이 시인에게 “순간, 길이 꿈틀”하는 경험을 준 것이다. 그래서 시인은 “걸음을 멈추고 가가이 가서 본다”. 힐끔 돌아본 데 불과했던 무심한 풍경을 이제는 적극적으로 다가가 바라보게 된 것이다. 그런데 정작 “플라스틱 바구니”에 놓여있는 것은 가물치 새끼가 아니라 “쪼그라든 가지 몇 개”가 아닌가. 결국 마른 가지를 “가물치”로 착각한 오독의 순간이었던 셈이다.
그 때 시인은 “가지와 가물치 사이를 오가는 동안”에 대해 생각하면서, “사라진 가물치를 찾는다”. 사라진 가물치를 찾는 그 장면이 공간적으로 두리번거리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오히려 시인은 “눈 깜짝할 사이 가지가 가물치로,/ 가물치가 가지로, 그렇게 전생과 후생을 다 살았다”는 경험을 되새기고 있는 것이다. 오독을 통해 시간 속의 오랜 유영(遊泳)을 경험하고 있는 시인은 그래서 자신을 “개망초 위를 날아가는 한 마리 잠자리”로 표현한다.
이처럼 이 작품은 ‘가지’를 ‘가물치’로 오독하면서 생겨난 경험 곧 전생과 후생의 동시 경험을 ‘눈 깜작할 사이’에 상상적으로 치러낸 시적 전회의 순간을 담고 있다. 결국 홍일표 시인은 이러한 상상적 유영을 통해 우리로 하여금 하나의 궁극적인 시적 원리로 유도하고 있는데, 그 시적 원리는 풍부한 오독의 가능성 속에 담겨 있는 발견의 맥락을 강조하는 데서 찾아진다. 시는 그 점에서 유일무이한 정독(精讀)을 통해서가 아니라 우리가 풍부하게 읽음으로써 생의 형식을 다채롭게 구성할 수 있는 오독 가능한 매개가 되는 것이다.
홍일표 시인
1958년생
1988년 심상신인상
1992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등단.
시집
<안개, 그 사랑법> <순환선> <혼자 가는 길>,
산문집 <죽사발 웃음 밥사발 눈물>,
민담집 <산을 잡아 오너라>
<닭을 빌려타고 가지> 등 다수
시교양지 <시로 여는 세상> 편집장으로
재임
출처, 네블, 내영혼의깊은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