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휘수 Hwisu, 구름 북소리
“테레사 수녀 ‘신의 존재’ 놓고 번민” 본문
“테레사 수녀 ‘신의 존재’ 놓고 번민”
|
미국 시사주간 타임은 최신호에서 테레사 수녀가 평소 자신의 심경을 털어놓았던 신부들에게 보낸 편지 40여편을 엮은 책 ‘마더 테레사:나의 빛이 되어주소서’에 테레사 수녀 내면의 갈등이 자세히 기록돼 있다고 전했다. 책은 테레사 수녀의 시복(諡福) 절차를 관장해 온 브라이언 콜로디에추크 신부가 엮은 것으로, 편지들은 시복을 위해 자료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수집된 것이라고 타임은 밝혔다.
테레사 수녀는 1979년 9월쯤 정신적 동지인 미하일 반 데어 페트 신부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신은 당신을 매우 특별히 사랑하십니다. (그러나) 나에게는 그 침묵과 공허가 너무 큽니다. 나는 보려 해도 볼 수 없고, 들으려 해도 들리지 않으며 (기도할 동안) 혀를 움직이려고 해도 말할 수 없습니다. 당신이 나를 위해 기도해주시길 원합니다.”
그러나 같은해 11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테레사 수녀는 시상식장에서 “예수는 우리 안에 있고, 우리가 만나는 빈자들 안에도 있고, 우리가 주고받는 미소 안에도 있다”고 말했다.
노벨상 수상식 연설이 세상이 알고 있는 테레사 수녀의 전형적 모습이라면 페트 신부에게 보낸 편지는 자기 실존에 대해 의문을 던지며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을 담고 있는, 자기 모순적인 것이라고 타임은 분석했다.
테레사 수녀는 59년 쓴 편지에서는 ‘무미건조함’ ‘어둠’ ‘외로움’ ‘고문’이 그녀를 끊임없이 괴롭히고 있다고 밝히면서 지옥에서의 경험과 비교했다. 또 자신의 내면 세계와 밖으로 보이는 모습 사이의 불일치를 알고 있다면서, “미소는 모든 것을 감추는 가면이거나 외투”라고 썼다.
타임은 테레사 수녀의 편지들로 비추어 48년 빈민을 돌보는 삶을 시작한 때부터 죽을 때까지 이같은 고통에 시달린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김정선기자〉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2007년 8월 24일 (금) 17:42 한국일보
---------------------------------------------------------------------------------------
기도보다 숭고한 테레사의 고뇌
|
"침묵과 공허가 너무도 커서 (예수님을) 보려고 해도 보이지 않습니다"
'빈자의 성자' 편지 40여통 모아
'$와서 내 빛이 되라' 곧 출간…고독·고통의 내면 절절히 담겨
세상에서 가장 믿음으로 충만했을 것 같은 ‘빈민들의 성자’도 한 사람의 인간이었다.
미국 시사주간 타임 최신호는 곧 출간될 <마더 테레사 : 와서 내 빛이 돼라>에 공개된 그의 어둡고 고통스러운 내면을 다룬 편지들을 소개했다. “내 안의 신을 느낄 수 없다”는 이 고백은 잠깐 스쳐 지나간 한 순간의 의심이 아니라, 1948년 인도에서 가난한 사람을 돕기 시작한 때부터 1997년 선종하기 전까지 50년 가까운 세월 동안 그를 괴롭혔던 문제였다.
“예수님은 당신을 특별히 사랑하십니다. 하지만 제 경우는, 침묵과 공허가 너무도 커서 (예수님을) 보려고 해도 보이지 않고, 들으려 해도 들리지 않고, (기도하려고) 혀를 움직여도 말이 나오지 않습니다. 저를 위해 기도해 주십시오.”
실존주의자의 고뇌처럼 들리는 이 고백은 테레사 수녀가 1979년 12월 오슬로에서 노벨 평화상을 받기 불과 세달 전 마이클 반 데르 피트 신부에게 보낸 편지의 일부분이다. 3개월 후 노벨평화상 수락 연설에서 그는 “예수는 모든 곳에 있다_우리 마음에도, 우리가 만나는 가난한 사람들에게도, 우리가 주고 받는 미소 속에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사랑과 용서의 힘을 설파하던 그 순간에도 내면에서는 느끼지 못하는 신의 존재에 대해 괴로워했다.
타임에 의하면 테레사 수녀의 믿음이 흔들리기 시작한 것은 1948년 “와서 내 빛이 돼라”는 예수의 계시에 따라 인도에서 가난한 이들을 돕는 일을 시작했을 때부터였다. 1950년대 고해 신부들을 초청한 뒤 아무 말도 못하고 돌려보내는 일이 잦아지자 한 신부가 문제를 글로 써 보라고 말했고, 이후 테레사 수녀는 선종하기 2년 전까지 40여통의 서한을 주고 받으며 내면의 고통을 토로했다.
1955년 페르디난드 페리에 주교에게 보낸 편지에서는 “영혼의 구원은 제게 호소력이 없습니다. 천국도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내가 이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주 앞에서 미소 지을 수 있도록 기도해 주십시오”라고 썼다. 1959년의 편지에서는 “내가 누구를 위해 일하는가? 신이 없다면 영혼도 없다. 영혼이 없다면 예수도 없다. 당신도 진실이 아니다”고 썼다.
테레사 수녀는 세상을 떠나기 전 “이 편지가 공개되면 사람들이 예수님을 덜 생각하고 나에 대해 더 생각하게 될 것”이라면서 없애버릴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평온하고 온화한 얼굴로 빈자 구호에 일생을 바친 그가 “내 미소는 가면이고, 모든 것을 덮어버리는 망토”라면서 ‘건조함’ ‘어둠’ ‘외로움’ ‘고문’ 등으로 자신의 내면을 표현한 이 책은 그 자체로 충격적이다.
가톨릭계는 이 책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미 플로리다주에 있는 보수적인 가톨릭 대학인 아베마리아대학 신학 학장인 매튜 램 신부는 이 책이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에 버금가는 자서전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좀더 자유주의적 신학 연구소인 ‘어메리카’의 마르틴도 “마더 테레사의 내면의 고백은 그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행한 봉사만큼이나 중요하게 기억될 것”이라면서 이 책이 “자신의 삶에서 신의 존재를 의심하는 이들을 위한 봉사”라고 평했다.
최진주 기자 pariscom@hk.co.kr
'빈자의 성자' 편지 40여통 모아
'$와서 내 빛이 되라' 곧 출간…고독·고통의 내면 절절히 담겨
세상에서 가장 믿음으로 충만했을 것 같은 ‘빈민들의 성자’도 한 사람의 인간이었다.
미국 시사주간 타임 최신호는 곧 출간될 <마더 테레사 : 와서 내 빛이 돼라>에 공개된 그의 어둡고 고통스러운 내면을 다룬 편지들을 소개했다. “내 안의 신을 느낄 수 없다”는 이 고백은 잠깐 스쳐 지나간 한 순간의 의심이 아니라, 1948년 인도에서 가난한 사람을 돕기 시작한 때부터 1997년 선종하기 전까지 50년 가까운 세월 동안 그를 괴롭혔던 문제였다.
“예수님은 당신을 특별히 사랑하십니다. 하지만 제 경우는, 침묵과 공허가 너무도 커서 (예수님을) 보려고 해도 보이지 않고, 들으려 해도 들리지 않고, (기도하려고) 혀를 움직여도 말이 나오지 않습니다. 저를 위해 기도해 주십시오.”
실존주의자의 고뇌처럼 들리는 이 고백은 테레사 수녀가 1979년 12월 오슬로에서 노벨 평화상을 받기 불과 세달 전 마이클 반 데르 피트 신부에게 보낸 편지의 일부분이다. 3개월 후 노벨평화상 수락 연설에서 그는 “예수는 모든 곳에 있다_우리 마음에도, 우리가 만나는 가난한 사람들에게도, 우리가 주고 받는 미소 속에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사랑과 용서의 힘을 설파하던 그 순간에도 내면에서는 느끼지 못하는 신의 존재에 대해 괴로워했다.
타임에 의하면 테레사 수녀의 믿음이 흔들리기 시작한 것은 1948년 “와서 내 빛이 돼라”는 예수의 계시에 따라 인도에서 가난한 이들을 돕는 일을 시작했을 때부터였다. 1950년대 고해 신부들을 초청한 뒤 아무 말도 못하고 돌려보내는 일이 잦아지자 한 신부가 문제를 글로 써 보라고 말했고, 이후 테레사 수녀는 선종하기 2년 전까지 40여통의 서한을 주고 받으며 내면의 고통을 토로했다.
1955년 페르디난드 페리에 주교에게 보낸 편지에서는 “영혼의 구원은 제게 호소력이 없습니다. 천국도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내가 이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주 앞에서 미소 지을 수 있도록 기도해 주십시오”라고 썼다. 1959년의 편지에서는 “내가 누구를 위해 일하는가? 신이 없다면 영혼도 없다. 영혼이 없다면 예수도 없다. 당신도 진실이 아니다”고 썼다.
테레사 수녀는 세상을 떠나기 전 “이 편지가 공개되면 사람들이 예수님을 덜 생각하고 나에 대해 더 생각하게 될 것”이라면서 없애버릴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평온하고 온화한 얼굴로 빈자 구호에 일생을 바친 그가 “내 미소는 가면이고, 모든 것을 덮어버리는 망토”라면서 ‘건조함’ ‘어둠’ ‘외로움’ ‘고문’ 등으로 자신의 내면을 표현한 이 책은 그 자체로 충격적이다.
가톨릭계는 이 책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미 플로리다주에 있는 보수적인 가톨릭 대학인 아베마리아대학 신학 학장인 매튜 램 신부는 이 책이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에 버금가는 자서전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좀더 자유주의적 신학 연구소인 ‘어메리카’의 마르틴도 “마더 테레사의 내면의 고백은 그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행한 봉사만큼이나 중요하게 기억될 것”이라면서 이 책이 “자신의 삶에서 신의 존재를 의심하는 이들을 위한 봉사”라고 평했다.
최진주 기자 pariscom@hk.co.kr
-----------------------------------------------------------------
2007년 8월 24일 (금) 20:01 한겨레
‘신은 어디에…’ 50년 고뇌한 테레사
|
살아서는 가난한 이의 어머니였고, 선종해서는 세상의 빛으로 추앙받은 테레사 수녀가 1979년 9월 마이클 반 데어 피트 신부에게 털어놓은 자신의 심경이다. 그가 이 해 12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노벨평화상을 받을 때 “예수님은 우리 안에 있고, 우리가 만나는 가난한 사람들 안에도 있고, 우리가 주고 받는 웃음 안에도 있다”고 말한 것과는 판이한 내용이다.
미국의 시사주간 <타임>은 테레사 수녀가 생전에 가까웠던 피트 신부와 주고받은 편지 등을 실은 <마더 테레사-내게 빛이 되어주소서>라는 책이 출간돼 ‘신의 부재’를 고민했던 테레사 수녀의 내면 세계를 알 수 있게 됐다고 23일 보도했다. 테레사 수녀는 48년 하반기에 쓴 편지에서 외로움을 얘기하면서 “제가 얼마나 이 고통을 견딜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고백했다. 그는 48년 8월 인도 콜카타 (당시 캘커타) 빈민가에 들어가 봉사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타임>은 테레사 수녀가 쓴 편지 40여통은 그가 신의 존재를 느끼지 못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테레사 수녀에게 ‘신의 부재’는 봉사 활동을 시작한 48년부터 숨진 97년까지 계속됐다고 전했다. 테레사 수녀는 편지에서 자신이 겪는 외로움과 어둠, 고통을 지옥에 비유하고, 가끔 이것이 천국은 물론 신의 존재까지도 의심하도록 자신을 이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그는 자신의 내면 상태와 공적으로 보이는 모습의 불일치를 거론하며 “미소는 모든 것을 감추는 가면이거나 외투”라고 말했다.
하지만, 테레사 수녀의‘신의 부재’에 대한 진솔한 고백이 그의 믿음과 삶의 진정성을 훼손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타임>은 테레사 수녀가 ‘신의 부재’에 대한 고민을 부끄러운 비밀로 여겼지만, 가톨릭 신부들은 테레사 수녀의 고민이야말로 그가 대단한 업적을 이룰 수 있도록 만든 성스러운 선물의 하나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테레사 수녀는 97년 9월 “인생이란 낯선 여인숙에서의 하룻밤과 같다”는 말을 남기고 선종했다. 그는 2003년 시복됐다. 가톨릭에선 성인 칭호의 바로 전 단계로, 뛰어난 신앙이나 순교로 이름이 높은 사람에게 복자라는 칭호를 내리는데, 이를 시복이라고 한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 온라인미디어의 새로운 시작. 인터넷한겨레가 바꿔갑니다. >>
'OUT > 읽고싶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는 사랑일까 / 알랭 드 보통 1 (0) | 2007.08.30 |
---|---|
우리는 사랑일까 / 알랭 드 보통 (0) | 2007.08.29 |
[스크랩]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결혼식 (0) | 2007.08.12 |
산문집 <그대, 마르지 않는 사랑> / 김인자시인 (0) | 2007.07.16 |
문학/ No. 192. 오늘의 청소년들은 무엇을 읽는가 (0) | 2007.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