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수 Hwisu, 구름 북소리
장자 읽기, 양생주 2번 본문
장자 읽기, 양생주 2번
포정(정이라는
요리사 또는 소잡이)이 문혜군을 위해 소를 잡은 일이 있었다.
손을 놀리고 어깨를 기울이고 발로 밟고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에
따라 휙휙 울리는 뼈 발라내는 소리, 칼로 가르는 소리가 절도에 모두 맞았다.
포정의 몸놀림은 상림桑林(노래와 춤)에
합치되고 칼을 움직이는 소리는 경수經首(악장)의 리듬에도 들어맞았다.
이를 본 문혜군이 말했다.
" 참으로 훌륭하구나. 사람의 재주가 여기에 까지 미칠 수 있단 말인가?"
포정이 칼을 놓고 대답했다.
" 제가 좋아하는 것은 도(道)로서, 재주보다 뛰어 납니다.
처음 제가 소를 잡을 때에는 소의 겉모습만 보였는데 3년이 지나자
온전한 소의 모습은 보이지 않고 제가 갈라내야할 부분만 보였습니다.
지금은 오로지 마음으로 일할 뿐 눈으로 보지 않습니다. 눈의 작용을 없애니 마음의 자연스런 작용만이 있습니다.
자연의 이치를 쫓아 큰 틈새를 벌리고 크게 비어 있는 곳으로 들어가는 것은 본디의 구조에 따르는 것입니다.
아직까지 뼈와 힘줄이 엉켜있는 곳을 가르는 데 실수가 없었는데, 하물며 큰 뼈가 무슨 장애가 되겠습니까!
훌륭한 소잡이가 일 년마다 칼을 바꾸는 것은 살을 가르기 때문이며 보통의 소잡이가 매달 칼을 교체하는 것은 뼈를 건드려 칼날이 부러지기 때문입니다.
지금 제가 지닌 칼은 19년을 사용했고 소 수천마리를 잡았어도 칼날이 지금 막 새로 숫돌에 간 것 같습니다.
소의 뼈마디에는 사이가 있지만 칼날은 두께가 없습니다.
두께 없는 것이 틈으로 들어가 여유 있게 그 칼날을 놀리므로 19년이나 사용했지만 방금 숫돌에 간 듯합니다.
그러나 오직 한 군데, 뼈와 힘줄이 엉켜있는 곳에 다다르면 그것이 어려운 줄 알기 때문에 각별히 조심하여
눈은 한 곳을 응시하고 칼날은 더디어지고 칼놀림이 몹시 미묘해집니다.
흙덩이가 땅바닥에 떨어지듯 자연스럽게 일이 끝나면, 칼을 들고 일어나서 사방을 둘러보고 잠시 주저하다가 이내 흡족해져서 칼을 잘 닦아 넣어둡니다."
이에 문혜군이 말했다.
" 훌륭하구나. 내가 포정의 말을 듣고 양생(養生)의 이치(도)를 얻었도다."
출처, 네블, 어두운상점의거리
'OUT > 읽고싶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은 자연産? / 한상림 (0) | 2006.06.18 |
---|---|
[스크랩] 탱고 레슨 (the tango lesson) (0) | 2006.06.13 |
한라여 은은하고 황홀한 속살이여 [스카이라이프 57호 - 2004/07/01] (0) | 2006.06.11 |
[스크랩] 산개벚나무와 안도현의 시 (0) | 2006.06.09 |
<말(言)의 오두막집>이 있는 황야의 풍경 / 尹石山 (펌) (0) | 2006.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