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수 Hwisu, 구름 북소리
연애단계설, 당신은 어느 단계? 본문
결혼이나 연애는 사회심리학의 대인매력이라는 분야에서 다룬다. 대인매력 분야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이와 관련된 주제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사람들은 무엇 때문에 서로에게 매력을 느낄까? 연애하는 사람들은 어떠한 심리적인 과정을 거쳐 가면서 파국을 맞이하게 될까? 반대로 연인들은 어떠한 심리적인 과정을 거치면서 결혼에 이르게 될까? 연애가 파국을 맞이했을 때, 보여주는 남자와 여자의 반응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 .....
이러한 주제들을 다루는 만큼 대인매력의 분야에는 상당히 흥미로운 연구들이 많다. 블로그에서 다루는 주제가 심각한 방향으로 쏠렸을 때는 대인매력의 연구들을 소개하는 것으로 분위기를 조금 가볍게 가져갈까 한다 .
연애단계설

사람은 이성과 처음 만나 어떠한 과정을 거쳐 결혼에 골인하게 되는 것일까?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먼스타인(Murnstein, B. J.)은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3단계의 과정을 거쳐 결혼에 이르게 된다고 한다. 그의 이론을 보통 SVR(Stimulus-Value-Role)이론이라고 부른다.
우선 결혼 후보자와 첫 만남의 단계가 있다. 이 단계에서는 상대방의 겉모습, 음성, 행동 등에 매력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느낄 수 없다면 연애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들은 상대방의 평판도 물론 중요하다. 이 단계에서는 상대방으로 받는 자극(Stimulue)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먼스타인은 이 단계를 S단계라고 부르고 있다.
S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교제가 시작되면 둘이서 함께 행동할 기회가 많아진다. 따라서 교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서로의 생각이라든지 가치관, 혹은 태도가 유사해야 한다. 태도나 기호가 유사하지 않으면 삐걱거리기 마련이다.
먹는 것 하나만 봐도 그렇다. 식성이 180도 틀려서는 문제가 생기기 쉽다. 어느 한 쪽이 희생해서 상대방이 고르는 것을 억지로 먹는 것도 한 두번이지, 이게 무한정 갈 수는 없다. 먹는 것도 이럴진데 다른 영역에서의 기호나 생각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반면 관심이나 흥미, 태도가 비슷하면 함께 즐겁게 보낼 수 있는 시간이 많아질 뿐 아니라 싸움이나 말다툼을 할 재료 자체가 적어지는 것이다.
가치관이 다르면 결혼까지 못간다
이 단계에서는 무엇보다도 가치관이 비슷할 필요가 있다. “합의적 타당성” 때문이다.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는 무엇이 옳고 그른가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절대적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가령 안락사같은 문제만 하더라도 여기에는 정답이 없다. 찬성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고, 반대하는 사람도 있기 마련이다. 사람들은 가치관에 따라 다 다르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적인 판단이나 행동이 옳다는 것을 확인하는 방법은 다른 사람이 “옳다”고 동의해주느냐 여부이다. 많은 사람이 동의해주면 그것은 옳은 것이고 아무도 찬성해주지 않으면 그것은 그른 것이 된다. 이처럼 사회적 판단이란 어떤 절대적 기준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동의 정도에 달려있는 것이다. 이러한 까닭에 사회적 판단의 옳고 그름을 사회심리학에서는
두 사람의 가치관이 비슷하면 상대의 의견이나 태도에 동의해주기 쉽다. 서로가 상대방의 판단이 옳다는 것을 보증해주기 때문에 두 사람 사이에 갈등이 생겨날 여지가 극히 작다. 이거 서로 다르다고 생각해보라. 만나면 싸우기 바쁠 것이다. 가치관이 다르면 연애가 진전되기 어려운 것이다. 교제가 진전된 단계에서는 가치관(Value)이 중요하다는 의미로 먼스타인은 이 단계를 V단계라 부르고 있다
교제의 최종 단계에 이르면 가치관이 비슷하다는 것 이상의 무엇이 필요해진다. 그것이 바로 역할분담이다. 이 단계에서는 서로가 역할을 분담해서 행동할 필요가 있다. 두 사람이 같은 역할에 충실하면 그 연애는 깨진다. 한 사람이 리드하면 상대방은 따라가 주어야 하고, 한 쪽이 어거지를 피우면 그것을 받아주기도 해야 한다. 어리광을 부리면 한 쪽은 어리광을 받아 주는 역할을 맡아 주어야 한다. 둘 다 어리광부리는 것만 고집하다 보면 더 이상의 진전이 어렵다.
이처럼 교제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역할을 서로 나누어 맡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런 까닭에 먼스타인은 교제의 최종단계를 R(Role)단계라 부르고 있다.
이러한 SVR 단계를 넘어서면 결혼으로 골인하게 된다. SVR의 각 단계에는 양자의 관계를 방해하는 요소들이 수없이 많이 있다. 결정적인 외부의 방해가 이루어지는 것은 V에서 R로 넘어갈 때이다. 이 단계에서는 부모나 친지의 방해가 있기 쉽고, 또 제 3자에 의한 비밀의 폭로가 이루어지기 쉽기 때문이다. 결국 연애에도 미묘한 과정이 있어 거기에 심리적으로 슬기롭게 대응해나갈 필요가 있다는 것을 SVR이론은 말해준다.
루이스의 6단계설
또 다른 연애단계설에 루이스(Lewis, R. A.)의 연구가 있다. 루이스는 첫 만남부터 결혼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6가지의 단계로 나누고 있다.
1. 유사성의 인지: 가치관, 지위, 흥미, 관심 등에서 두 사람이 서로의 공통점을 찾는 단계이다. 서로가 비슷하다고 느끼면 연애는 다음 단계로 진전된다.
2. 좋은 관계의 구축: 공통점을 발견한 두 사람이 바람직한 관계를 만들어 간다
3. 자기개시의 단계: 상대방에게 자기에 관한 이야기를 한다. 보통 자기에 관한 이야기를 남에게 하는 것을 사회심리학에서는 자기개시(self-disclosure)라고 한다. 어느 관계에서나 친밀한 관계로 진전되기 위해서는 자기개시가 반드시 필요하다. 자기개시란 교제가 어느 정도 진전된 상태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는 솔직한 사람이랍시고 처음부터 다 까발렸다가는 손해보는 것이 연애이다.
4. 역할 취득: 서로 상대방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역할에 충실하게 행동하기 시작한다. 여기서 역할취득 잘못하면 결혼 후 괴로워진다.
5. 역할 적합: 두 사람 간의 암묵적인 역할이 결정되어, 두 사람은 그 역할에 충실한 방향에서 행동한다.
6. 결정(結晶): 두 사람은 하나의 단위로 행동하게 돼, 이제는 자신들이 떼어 놓을래야 떼어놓을 수 없는 사이라는 인식을 갖게 된다.
이 단계를 넘어서면 결혼이다. 그리고 결혼 뒤에는 또 다른 과정이 기다리고 있다.
요즘 드라마를 보면 결혼의 부정적인 면이 너무 지나치게 강조되는 것 같아 황당할 때가 있다. 삶 자체가 그렇듯이 결혼에도 부정적인 면도 있고 긍정적인 면도 있다. 하지만 어느 한쪽만 지나치게 부각시키는 것은 오류를 범하기 쉽다. 요즘의 드라마들은 이 황량한 세상에서 부부가 서로 믿고 의지하고 살아간다는 것이 얼마나 소중하고 대단한지를 너무 무시하는 것 같아 기분상할 때가 많다.
출처, http://umentia.com/122,Rokea님
'OUT > 요것조것수납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수자리 혈액형 (0) | 2007.07.17 |
---|---|
[스크랩] 올 여름, 절대 먹어선 안될 음료 6가지 (0) | 2007.07.05 |
생생 천연 재료로 피부 미인 도전! (0) | 2007.06.26 |
굽은 등 펴기와 어깨 통증 없애기 (0) | 2007.06.25 |
그냥 넘어가면 안 되는 통증 7가지 (0) | 2007.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