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수 Hwisu, 구름 북소리

[스크랩] 턱이 없는 이매탈에 얽힌 사연 본문

OUT/요것조것수납장

[스크랩] 턱이 없는 이매탈에 얽힌 사연

휘수 Hwisu 2006. 1. 19. 00:12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하회 마을은 하회탈로 잘 알려져 있다.

하회별신굿에 쓰이는 탈은 본래 열 두 개였는데,

그 중 세 개는 없어지고 지금은 아홉 개인 각시탈, 중탈, 초랭이탈,

양반탈, 선비탈, 이매탈,부네탈, 백정탈, 할미탈이 보존되어 있다.

국보 제121호로 지정되어 있는 하회탈에는 다음과 같이 전설이 깃들어 있다고 한다.


옛날 안동에 허 도령이란 총각이 살았다.

허 도령은 온순하고 얼굴도 미남이어서 마을 처녀들이

모두 허 도령을 마음 속으로 좋아 했는데,

어느 날 밤 꿈에 마을의 수호신이 나타났다.

"듣거라. 나는 이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이다.

네가 해야 할 일이 있어서 찾아왔느니라."

"그게 무엇입니까."

"탈을 만들어라. 그러나 탈을 모두 완성하기 전에는

절대로 여자를 만나서는 안 되느니라. 알겠느냐?"

"네. 말씀 명심하겠습니다."

다음 날부터 허 도령은 몸과 마음을 깨끗히 하고 탈을 만들 재료들을 준비했다.

그리고 문에 솔가지와 숯을 엮어 금줄을 쳐놓았다.

즉 사람들의 출입을 막겠다는 뜻이었다.

예전엔 남의 집에 금줄이 쳐져 있으면 사람들은 함부로

그 집에 드나들 수 없었다 한다.

드디어 허 도령은 방 안에만 들어앉아 열심히 탈을 만들기 시작했다.

얼마나 열심히 탈을 만들었는지 끼니 때가 되어도 배고픈 줄 모르고 밤이 되어도 잠잘 줄 몰랐다.

허 도령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열심히 탈을 만들었다.

하루도 쉬지 않고 탈을 만들어 이제 마지막 탈인 이매탈만 만들면 끝이었다.

허 도령은 마지막 힘을 다해 이매탈을 만들었다.

한편 이 마을의 한 처녀가 허 도령을 매우 사랑하고 있었는데,

며칠째 보이지 않자 너무나 보고 싶고 걱정이 되어

어느 날 밤 살며시 허 도령의 집으로 달려갔다.

허 도령의 집으로 막 들어서려는데 대문 위에 금줄이 쳐져 있었다.

처녀는 안절부절 못하며 집 앞을 서성이다가 더 이상 견딜 수가 없어 집 대문을 밀고 안으로 들어 섰다.

다른 방의 불은 다 꺼져 있는데 허 도령의 방에서만 불빛이 새어 나오고 있었다.

처녀는 발소리를 죽이며 살금살금 방 앞으로 다가가서 손가락 끝에 침을 묻혀

창호지 문에 구멍을 뚫어 방 안을 엿보았다.

열심히 탈을 만들고 있는 허 도령의 불빛에 비친 모습은 너무나 진지했다.

"아, 도련님!"

처녀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허 도령을 부르고 말았다.

그러자 무아지경에 빠져 탈을 만들고 있던 허 도령은 인기척을 느끼고 고개를 들었다.

그런데 허 도령과 처녀의 눈이 마주치는 순간 허 도령은 피를 토하며 그 자리에서 죽고 말았다.

그의 손에는 마지막으로 만들고 있던 이매탈이 들려 있었다.

이매탈의 턱을 만들려다 변을 당한 것이다.

그래서 이매탈은 턱이 없다고 한다.

그 후 마을 사람들은 허 도령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해마다 제사를 지내 주었다고 한다.


- 안동시 풍산읍 하회 마을-

출처 : poet ... 휘수(徽隨)의 공간
글쓴이 : 휘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