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수 Hwisu, 구름 북소리

밤이 깊었습니다 / 전혜린(유작수필) 본문

OUT/읽고싶은글

밤이 깊었습니다 / 전혜린(유작수필)

휘수 Hwisu 2006. 4. 2. 01:21

 

 

 

田 惠 麟 (1934∼1965) / 수필가·번역문학가

 

 

 

밤이 깊었습니다


 

 

삶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은 별로 즐거운 일이 아닙니다.
너무나 추악하고 권태로운 일이 많기 때문입니다.
약간의 베일을 씌우고 약간의 안개로 가리고 삶을 볼 때
삶은 아름다워지고 우리에게 견딜 수 있는 무엇으로 변형됩니다.
덜 냉혹하게 덜 권태롭게 느껴집니다.

저녁 때 푸른 어둠 속을 형광이
일제히 켜지는 시간부터 신비(神秘)는 비롯되는 것입니다.

어둠은 기적(奇蹟)을 낳습니다.
어둠 속에서 우연히 만난 옛날에 알던 사람과 우리는 곧 핵심(核心)에 와 닿는
대화(對話)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낮은 적나라(赤裸裸)한 일광(日光)으로
모든 낭만(浪漫)을 박탈해버리는데 비(比)해서

밤은 우리를 꿈속같이 막연하고
불투명(不透明)하게 부드러운 낭만으로 감싸줍니다.

우리들 인간(人間)은 너무나 불완전(不完全)하기 때문에 밤이 절실(切實)히
필요(必要)합니다.

자기가 대낮이라고 외치고 "빛" 이기만 하고 어둠일줄을 모르는 슬픔을 노래한

니체(Nietzsche)보다 우리는
"오 밤이여, 나는 또 코카인을 먹었다!" 라고 시(詩)를 쓴 벤(Benn)에 더
동정(同情)이 갑니다. 그만큼 니체의 시대(時代)보다 현대(現代)는
생활(生活)이 복잡해지고 낮의 부담이 더 무거워진 것입니다.

 

 

우리는 삶을 신비화하기 위해서, 또 일상(日常) 생활의 기계적인 궤도가 주는
피로에서 놓여나기 위해서 또 정말로 자기 자신으로 돌아갈 수 있기 위해서
밤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밤은 우리를 포근히 안아줍니다.

모든 괴로운 사람에게도 다 밤은부드러운 이불이 되어주고 감싸 줍니다.

마치 우리는 어머니의 태(胎)안에있는 것 같은,

완전(完全)히 모순없는 내재(內在)의 의식(意識)이 주는
하모니를 심신(心身)에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의 몸을 밤에
내어 맡깁니다. 고독(孤獨)하게 어둠 속에 누워있을 때 우리는 사물(事物)이
돌연(突然) 그의 일상성(日常性) 밖으로 달아나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온갖 물체가 입체성을 잃고 마치 유동체(流動體)처럼 우리의 의식(意識) 속에
홀러 들어오고 외계(外界)와 우리가 기묘(奇妙)한 새로운 관계(關係)에 서게 됩니다.

 

 

낮 동안에는 관찰(觀察)이나 평가(評價)의 대상(對象)이었던
대상(對象)으로서의 외계가 불시(不時)에 그 한계(限界)를 넘고
우리와 "너의 관계" 즉 아무런 제3조건이 개입할 수 없는 단 둘만의
관계가 되는 것입니다.

외계와 완전히 합일(合一)될 수 있는 완전한 순간(瞬間)을

우리는 그때 체험(體驗)하게 됩니다.
여태까지 불가능(不可能)하게 생각되었던 모든 일이 불시(不時)에
너무나 당연(當然)하고 자연(自然)스러운 일로 생각됩니다.

 

 

우리는 일상성의 테두리밖에 있는 것이니까….

 


그때 우리는 정말로 우리들 자신(自身)일 수가 있습니다.
어둠보다 더 짙은 것, 더 부드러운 것 그리고 더 순수(純粹)한 것이 있을까?
모든 조잡과 부조화(不調和)와 추악의 원색(原色)을 추상(抽象)해 낸 검은 빛,
누비아 여인(女人)의 몸의 빛과 같이 매끈한 암흑(暗黑)이 지금 훈훈하게
우리를 안고 있습니다.

어둠에 몸을 맡기십시오. 밤의 품안에 안기십시오.
낮의 생활의 소용돌이가 남겨놓은 원색(原色) 자갈돌을 어둠으로 덮으십시오.

암흑(暗黑)을 포옹하십시오. 순수를 갈구(渴求)하십시오.

 

 

우리의 생(生)은 투쟁과 갈등의 끊임없는 반목(反目)의 지속상태(持績狀態)입니다.

꿈과 현실(現實), 예술(藝術)과 생활(生活), 생(生)과 사(死), 이런

반대(反對) 개념(開念)들이 우리의 생(生)의 순간순간(瞬間瞬間)을

갈등과 결단(決斷)으로 몰아넣고 우리를 긴장(緊張)시킵니다.

한 순간 한 순간이 우리의 의식(意識)의 결단 없이는
흘러가지 않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순간의 총체(總體)가 우리의 생이며
우리는 우리의 생에 "책임(責任)" 이라는 무거운 쇠사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자유(自由)"라는 날개가 우리의 등에 달려 있는 것도 우리의 발에 묶인
쇠사슬의 대가(對價)인 것이니 결국(結局) 우리는 일생(一生)동안
꿈속에서 밖에는 날아보지 못하는 것입니다.

모순과 갈등, 그리움과 환멸의 불연속선(不連續線)인 생에 대해서

죽음은 휴식(休息)과 모든 투쟁의 종언을 뜻합니다.

 

 

생이 위대(偉大)한 대낮이라면 사(死)는 밤일 것입니다.

모든 모순과 분규를 일단 그대로 받아들인 채 포근히 감싸 덮고 마는
포섭력(力)과 유화력의 소유자가 밤입니다. 괴로운 사람일수록 밤을 사랑합니다.
햄릿도 "죽는다는 것은 잘 자는 것…. 그 이외(以外)의 아무 것도 아니다"라고
말하면서 그의 밤을 갈구(渴求)해 왔고 종래는 덴마크왕국(王國)의 기나긴 밤 -
깨어남 없는 잠을 가져오는 영원(永遠)의 밤을 빚어내고 말았습니다.
그는 모든 생각하는 사람, 괴로워하는 사람처럼 밤의 인간(人間)이었습니다.

태어날 때부터 낮보다는 밤에

생보다는 사(死)에 그의 관심(關心)이 가있던 인간(人間)이었습니다.

밤은 그러니까 일상성으로부터의 탈피(脫皮)에서부터

생명(生命)으로부터의 초절(超絶)로까지 승화(昇華)될 수 있는

힘의 소유자(所有者)이기도 한 것입니다.

괴로울 때 우리는 밤을 바랍니다. 밤을 그립니다.

 

 

그리고 밤이 되고저
우리를 파괴해버리는 일까지도 있는 것입니다.

차(車) 소리도 발걸음 소리도 멎었고, 바람소리가 별과 섞이는 시간(時間)이 되었습니다.

암흑(暗黑)의 마력(魔力)이 분수(噴水)처럼 소리높이 우리 속에서 또 우리 주변에서

솟아나고 소리를 내면서 시간입니다.

내 마음도 밤입니다. 모든 연인들의 마음처럼 밤입니다.
그리고 분수처림 소리높이 내 마음은 깨어 납니다.
낮 동안 모든 굴레와 생활이 주는 오욕(汚辱)에 눌려져 있던
내 마음이 비로소 크게 노래하는 시간이 왔습니다.

낮동안 우리는 얼마나 밤에 굶주렸었는지 모릅니다.
거칠고 손 때 묻은 석회(石灰)벽 속에서 손을 더럽히는 노동에
종사해야 했던 우리의 영혼이 한 송이의 리라꽃으로 변신(變身)하는
시간이 왔습니다.

마술(魔術)의 시간, 도취(陶醉)의 시간, 사랑을 위한 시간입니다.
낮 동안 잠들었던 우리의 마음이 활짝 깨어나고 그리움에 몸부림치면서
순수(純粹)를 찾는 때입니다. 아, 영혼으로만 가득 찬 밤 속에 있고 싶습니다.
산문(散文)대신에 시(詩)를, 계산(計算)대신에 낭만을, 현실(現實)대신에
꿈을 우리에게 갖다주는 것은 다만 밤 뿐입니다.

 

 


어떤 애인보다도 부드럽고 감미(甘味)롭고 짙은 밤뿐입니다.
밤이 없다면 우리의 생(生)은 살만한 것일까요? 계속적인 권태(倦怠)와
피곤(疲困)에 질식해버릴 것이고 애인과 만나는 일도 없어지게 되고 말지
않았을까요?

밤이 없었다면….

밤이 있으므로 해서 우리의 생은 생기(生氣)를 얻습니다.
우리의 애인은 매혹을 얻습니다. 밤처럼 우리를 도취시키는 것이 또 있을까요?
우리들 누구나를 마술사로 만들어 버리고 동화(童話)의 주인공(主人公)으로
착각(錯覺)시키는 것은 밤이 가진 힘입니다.

밤에 우리는 낮에는 생각지도 못했던 비약을 합니다.
우리는 미칠 듯이 불타고 흐르고 불길 속에 뛰어 듭니다.
한(限)없는 불길 속에, 목숨 속에 우리는 마음을 던져 넣고 몸을 내어 맡깁니다.
누구나가 누구나에 대해서 애인일 수 있는 순수한 순간을 밤은 만들어 냅니다.
어떤 낮의 일광(日光)보다도 우리의 밤의 영혼은 뜨겁고 열광적(熱狂的)이고
맑습니다 어린아이가 어머니의 가슴을 더듬 듯 우리는 밤의 유방(乳房)에
얼굴을 파묻고 밤에서 홀러 나오는 향기와 꿀을 빨아들입니다.

 

 


연인을 위한 시간! 우리 모두가 참다운 연인으로 변신(變身)하는 시간!
가슴 속에서부터 맑은 샘물이 소리를 내면서 쏟아져 나오는 시간입니다.

누구나에게 밤은 연인이 되어줍니다.
우리의 작열하는 영혼과 신비하게 비약하는 몸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검게
무겁게 포옹해 주는 애인이 밤입니다. 보석처럼 빛나는 순결한 육체(肉體)를
우리는 어둠 속에 내어 맡깁니다. 그리고 뜨겁게 뜨겁게 땅과 포옹합니다.
우리의 정신(精神)이 흙과 섞입니다. 흐느끼면서 우리는 흙의 습기와 암흑에서
모성(母性)을 이해(理解)합니다. 그리고 우리의 낮 동안의 노동이
창백(蒼白)하고 입체감(立體感)없이 평평한 무엇이었음을 깨닫습니다.

낮을 관념(觀念)이라면 밤을 땅이라고 육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관념에만 사로잡힌 사람은 결국 인간일 수 없는 망혼(亡魂)에
불과(不過)합니다. 그림자에 불과합니다. 우리의 영혼의 향수가 향(向)하고 있는
것은 밤입니다.

 

 

무엇보다도 밤입니다. 밤을 사랑할 줄 모르는 사람은
참으로 현명한 사람은 아닙니다. 밤이 우리에게 주는 충일감(充溢感)과
보호되어있는 느낌이 자기의 것이 아닌 사람은 정신의 불구(不具)입니다.
절름발이입니다. 생에 열광(熱狂)하는 사람이 동시(同時)에 죽음을
열애(熱愛)하고 있듯 우리는 낮과 밤을 모두 사랑할 줄 알아야겠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영혼에 제일 밑에 고여 있는 샘물을 끌어내어 솟아오르게
하는 것은 낮이 아니고 밤입니다.

낮을 일에 밤을 휴식에 할당하신 하나님은 과연 예지로운 분입니다.
낮은 투쟁과 모순, 밤은 조화와 고요, 낮은 생활, 밤은 사랑, 낮은 산문,
밤은 시(詩), 이렇게 분류(分類)되는 것도 모두 그것에 비롯하는 것이니까요.

밤입니다.

 

 

바람소리가 별들과 혼합(混合)되는 시간, 신비가 탄생하는 시간,
마술이 이루어지고 연금술이 증명되는 시간, 애인들의 침대가 딸기빛으로
붙타는 시간입니다. 어둠의 두터운 포옹 속에 우리의 그리움을 모두 쏟아버리는
시간입니다. 질식을 위한 시간 환희와 도취를 약속하는 시간입니다.

커튼이 두껍게 가린 창은 어둠을 더 짙게 몰아다주고 있습니다.

완전(完全)한 암흑 속에서 당신의 영혼을 라일락꽃으로 변형시키십시오.
지금이 바로 기적이 일어나는 시간인 것입니다. 당신의 애인은 침대 속에
당신 대신에 한 송이의 횐 라일락가지가 놓여있는데 놀랄 것입니다.
밤입니다. 모든 연인들의 시간입니다. 내 마음도 지금 분수처럼 소리를 내면서
밤을 향해 솟아 흘러내리고 있습니다.

 

 

저녁 때 어둠이 다가옵니다. 그리고 공포(恐怖)가…. 어렸을 때 나는 어둠을
무척 두려워했습니다 나의 머릿속은 무섬과 우울과 별이 쏟아지는 마당에서의
유희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눈을 감으면 붉고 노랗고 녹색 빛나는 은하수가
어둠속물 흘러서 나의 의식(意識) 속까지 파고들었고 눈을 뜨면 하얀 유령같은
물체(物體)가 나를 응시했습니다.

나는 갑자기 마당을 달리고 있는 들쥐의 모습을 생각해냈습니다.

푸른 거울 속에서부터 아름다운 공주(公主)가 나타났고 나는 죽음과 같은
암흑(暗黑) 속에 가라앉았습니다. 밤의 입술은 붉은 과실같이 열렸고 별들은
밤의 가슴에 감추어진 비애(悲哀) 위에서 빛을 발했습니다.

어둠 속을 나의 환상은 무덤가를 거닐었습니다. 시체를 바라보았습니다.
병풍 뒤에 눕혀졌던 할머니의 주검이 주었던 기묘(奇妙)한 착란(錯亂)을
느끼면서…. 할머니의 아름다운 손에는 부패(腐敗)의 녹색(綠色) 반점(斑點)이
떠 있었습니다. 나의 영혼은 산(山) 속을 헤매었고 절간의 문전에서 한 조각의
떡을 애걸하기도 했습니다. 한 마리의 검은 말이 돌연 옆에서 튀어 나와
길을 막는데 놀라면서 ―.

 

 

다시 한 이부자리 속에 혼자 누워있는 자신을 알고 이유 모를 눈물을 흘렸습니다.
그러나 아무도 나의 이마에 손을 얹어주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다시 나는 환상
속을 찾아 헤매었습니다. 아, 들판에 넘친 어린애들의 환성(歡聲), 누렇게 익은
보리이삭을 노래한 마음, 불처럼 타오르는 경건한 두려움, 나는 조용히
개구리같은 별의 눈을 보았습니다. 떨리는 손에 낡은 돌의 차가움을 느꼈고
푸른 샘의 전설(傳說)을 들었습니다. 은(銀)빛나는 생선떼, 허리 구부린 나무에서
떨어지는 과일, 나의 걸음걸이에서 울리는 음향(音響), 어린 마음은
어른을 경멸하는 마음과 오만(傲漫)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다시 자기 방으로 돌아오기 전(前)에 나의 어린 영혼은 아무도 살지 않는
고성(古城)곁을 지났습니다. 지쳐버린 대리석상(大理石像)이 슬픔으로 시간을
보내면서 저녁의 어둠 속에 서서 밤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나는 늑대같이 어두운 동굴(洞窟)에서 날을 보내고 의식의 박명(薄明) 속에서
증오하면서 밤을 기다렸습니다.

거짓말을 하고 훔치고 엄마의 횐 얼굴에서 몸을 숨겼습니다.
폭풍우 속의 숲길, 내가 걷는 광란(狂亂)의 샛길을 피해 달아나는 검은 짐승.
증오는 나의 마음을 불태웠습니다.

 

 

초록빛 여름의 마당 속에서 아무말도 안하는 아이에게 가했던 폭력(暴力)
그리고 그 아이의 얼굴에서 나의 착란한 모습을 찾을 수 있었을 때의 환희(歡喜),
그것은 새빨간 꽃에서 잿빛을 띤 해골이, 죽음이 나타나는 시간이었습니다.

아, 어린 시절의 창(窓)가의 어둠은 서글픈 것이었습니다.
탑(塔)과 종(鐘) 그리고 나의 위에 돌처럼 떨어져 내린 죽음의 그림자,
아무도 나를 사랑하지 않았습니다. 어둠이 감긴 방 속에서 허위와 음탕이
나의 어린 머리를 태웠습니다. 파란 옷의 스치는 소리가
나의 몸을 굳게 했습니다. 문간에 엄마의 밤의 모습이 서 있었습니다.
나들이옷의 향기(香氣), 비단 스치는 소리, 흰 털외투, 그리고 천사(天使)의
날개처럼 소리 없이 다가와서 이마를 만지는 어둠의 손길.
나는 엄마를 소리높이 부르는 대신 굳은 몸으로 잠을 가장하고 어머니가
바쁜 걸음으로 나간 뒤의 향기와 비단 스치는 푸른 음향에 굶주렸었습니다.
아, 밤이여, 어둠과 별들이여, 나는 어둠 속을 불구자(不具者)들과 함께 산으로
달려갔습니다. 얼어붙은 산정(山頂)에는 오로라 빛이 덮여 있었고
나의 마음은 어둠 속에서 가냘픈 소리를 냈었습니다.

 

 


거치른 나뭇가지가 내 위에 무섭게 가라앉았고 붉은 수인(囚人)들이
숲에서 걸어나왔습니다.

어린아이의 간을 빼어먹는다는 붉은 남자들이었습니다. 나의 마음은 밤마다
수정(水晶)으로 되어서 깨어져 흩어 졌고 어둠이 나의 이마를 때렸습니다.
잎이 없이 앙상한 느티나무 밑에서 나는 얼어 붙은 손으로 한 마리의 검은
고양이를 목 졸라 죽였습니다. 그때 슬픔의 소리를 높이 지르면서 왼손편에
한 천사(天使)의 횐 모습이 보였습니다. 그때 어둠 속에서 붉은 남자들의 모습이
커져 갔습니다. 그러나 내가 돌을 집어서 그 그림자에 던졌더니
신음소리와 함께 도망치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느티나무 그늘에서
천사(天使)의 횐 얼굴이 한숨을 짓고는 살아졌습니다. 나는 돌밭에 누워서
별들이 수놓은 금(金)빛 포장을 감탄했습니다. 그러나 박쥐 떼에 몰려서
나는 어둠 속에, 완전한 암흑 속에 다시 떨어져 버렸습니다.
허물어진 집 속에 걸어 들어가서 나는 야수가 되어 깊고 깊은 잠에 들었습니다.

 

 

밤이 왔습니다.

밤은 때로는 두려운 무엇이기도 합니다. 외로운 사람, 병든 늙은 사람에게는
-특히 겨울밤은 그렇습니다.- 바깥은 검은 추위가 꽉 채우고 있고 대지(大地)는
딱딱하고 공기(空氣)는 싸늘한 맛을 지니고 있습니다. 움직이지 않는 별들까지도
무슨 나쁜 전조(前兆)를 알리고 있는 듯 슬프게만 보입니다.
외로운 우리는 돌같이 무거운 다리를 끌고 언 가도(街道)를 터덜터덜 걸어갑니다.
우리의 발이 땅을 디딜 때마다 새파란 얼음 같은 소리가 나고 우리의 얼굴은
비애로 석화(石花)됩니다. 돌로 덮인 언덕, 철로(鐵路)가의 제방, 은(銀)빛 눈과
얼음 속에서 고요하게 해체(解體)되어가는 차가운 육체(肉體), 찬바람만이
점령(占領)하고 있는 방 속에서 가구는 부식되어 가고 있습니다.
뼈만 앙상하게 남은 손으로 유년시대(幼年時代)를 탐지해 보지만 살찐 쥐떼들의
장롱을 갈아먹는 소리에 부딪쳐 무너지고 맙니다. 암흑 속에서 굶주림의 저주가
붉게 피어오르고 허위의 검은 칼이 먼 청동(靑銅)색 문을 때려 부수는 메아리
소리도 들립니다.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밤! 허무와 비애와 추위와 기아만이 지배하고
밤의 마력의 권외에 놓인 부록같은 밤! 우리가 앞으로 얼마나 많이 갖게
될지 모르는 소망되지 않는 밤, 견디는 것이 전부인 밤….
이런 밤은 정말로 우리를 미치게 합니다. 자기가 한 일, 안 한 일에 대한 후회
그리고 모든 것을 일어난 그대로 있는 그대로 놓아 둘 수밖에 없고
교정이 불가능(不可能)한 것을 깨달은 데서 오는 늪 속 같은 쓰디쓴 비애.
이런 밤입니다. 우리가 검은 독(毒)을 마시고 죽음의 미각(味覺)을 알고
싶어지는 것은. 또 한 번만 머리를 검게 만들고 지나간 해들은 다시 고쳐 살고
몰락하기 전(前)에 다시 다시 한 번만 활짝 피어 보고 싶어서 흰 가루를
먹는 것은 이런 밤입니다. 옛 시인(詩人)들이 술항아리를 꺼내러
지하실(地下室)로 내려간 것도 이런 밤입니다.

 

 

불기도 없는 방, 열도 없는 마음과 몸, 아무 그리움도 채울 수 없는 눈동자를
하고 우리는 그저 아침이 올 것을 기다립니다. 이때 텅 빈 가슴에 호수(湖水)처럼
밀려와서 꽉 차는 감정(感情)이 있습니다. 공포―, 존재(存在)의 공포
또는 죽음에의 공포가 그런 것입니다. 물끄러미 어둠을 응시하면서 생각하고
또 생각해 보는 것은 자기의 생과 사(死)뿐입니다.
고정관념(固定觀念)처럼 공포가 가슴에 붙어버립니다. 자기(自己)가 지난
날 자기 자신이었던 어느 특정(特定)의 존재라는 것을 생생(生生)하게 느끼고
자신(自身)이 그 피부의 울타리 밖으로 나갈 수 없는 것을 깨닫는 데서 오는
숨막힌 공포감이 그것입니다.

 

 

우리는 왜 우리이고 다른 것 일 수 없는가? 의문하기 시작하면 끝이 없습니다.
그럴 때 우리가 택(擇)할 최선(最善)의 방법(方法)은 아무 것도 생각하지 않는
것일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힘든 일일 것입니다. "아무 것도 안 일어났고
안 일어나며 앞으로 일어날 수 없는데 이 생을 무엇 때문에 일초(一秒)라도
더 견딜 필요(必要)가 있단 말인가?" 라는 목소리가 끊임없이 우리의 가슴속에
들릴 것이니까요. 그러나 우리는 그 목소리에 귀를 막도록 애써 봅시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난날의 경험 중에서 우리가 그것을 상기함으로써
잠시 동안의 기쁨을 가질 수 있고 사건(事件)들을
생각해 내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우리의 체험(體驗)이 적은 생(生)에서 특히 작은 공간을 차지했던 일들
-표현(表現)도 거의 되지 않고 만 우정(友情) 또는 망쳐버려질 시간이
주어지지 않고 끝난 애정- 이 감미(甘美)로움을 끝까지 간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젊음의 전장(戰場)에서 우리가 거치고 지나간 시체들 중에
불쾌감(不快感)없이 회상(回想)할 수 있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요?
둘의 애정이 끓어오르기도 전에, 따라서 식을 수 있게 되기도 전에
어떤 외부적 상황(外部的 狀況)에 의해서 이별해야 했던 사람은
그 중(中)에 들어가겠지요.
먹지 않고 놓아둔 과자를 어린애가 언제까지나 생각하는 것과
비슷한 심리(心理)이기도 합니다.

 

 

서양(西洋) 할머니들 중에는 갖가지 리본으로 묶어 놓은
젊은 시절에 받은 (戀書)를 고이 간직해 두고 그것을 잠 안 오는 밤에 읽다가
잠드는 분들이 흔히 있다고 합니다. 외로울 때 옛 편지나 옛 일기(日記)를
읽는 것도 한 방법(方法)이겠지요. 너무나 시간적(時間的) 거리가 있어서
소설(小說)보다도 그 연문(戀文)들은 남의 얘기같이 들리고
비현실적(非現實的)으로 느껴져서 결국 졸리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잠이 안 오는 사람, 또는 최면체가 될 연문도 안 모아둔 사람은
할 수 없습니다. 공상 속에서 별을 세어 보십시오. 천(千)까지 세고
또 천까지 세고…. 단 만약에 당신이 박카스와 조금 친한 분이라면
주저 마시고 포도주병을 꺼내 오십시오.

밤이 깊었습니다.

 

 

 

출처: 月刊<춤> 2002년4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