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요것조것수납장

자궁근종 색전술(자궁동맥 색전술)

휘수 Hwisu 2006. 10. 25. 12:07

자궁근종은 35세 이상 여성에서 20% - 40% 의 유병율을 보일 정도로 여성의 가장 흔한 골반내 종양이다. 자궁근종이 과다 월경 및 심한 생리통의 증상을 유발하거나 갑자기 자라서 치료를 요할 때, 40세 이후의 여성으로 더 이상의 출산이 필요 없으면 전통적으로 자궁절제술(hysterectomy)이 일차적인 치료방법으로 선택되어 왔고, 따라서 자궁절제술의 약 3분의 1이 자궁근종을 치료할 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 1년에 약 15만 건의 자궁절제술이 자궁근종으로 인해 이루어 질 정도이다. 이와 같은 자궁절제술은 여성의 생식기능을 소실 시킬 뿐 아니라 마취와 수술에 의한 여러 가지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고, 또한, 여성에게 정신적 충격을 안기기도 한다. 따라서 앞으로 출산을 원하는 여성에게는 생식력을 보존할 수 있는 근종절제술 (surgical or laparoscopic myomectomy), 근종용해술 (myoma lysis), 또는 호르몬 치료법등 보존적 치료 방법 등이 시행되어 왔다.


자궁근종은 많은 경우 여러 개의 근종이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근종절제술은 수술시 출혈양이 많고, 수술시간이 길어지며, 수술 후 통증이나 합병증의 발생빈도가 높고, 자궁절제술에 비해 오히려 입원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근종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약 20-25% 에서 근종의 재발로 인해 증상이 다시 생겨 결국 자궁절제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요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호르몬 치료법은 현저한 증상의 호전과 근종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치료를 중단할 경우 수 개월 내에 치료 이전의 크기로 다시 자라게 되어 증상이 재발하게 된다. 또한, 호르몬 치료법을 6개월 이상 장기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골다공증이나 폐경기 증상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로 수술 전에 근종 크기와 혈류 양을 줄여 수술 시 과다 출혈 등을 예방하기 위한 한시적인 효과를 목적으로 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던 중, 프랑스의 산부인과 의사인 Ravina 교수가 근종절제술이나 자궁절제술시 출혈 등의 합병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방사선과 의사에게 자궁 동맥 색전술을 의뢰하였고, 색전술을 시행 받은 다수의 환자에서 근종의 크기가 감소하고 증상이 호전되어 더 이상 수술적 치료가 필요치 않게 되어, 자궁 동맥 색전술을 자궁근종의 일차적 치료방법으로 사용하게 되었고, 그 결과를 1995년 문헌에 보고하였다. 그 후 자궁근종의 증상 치료방법으로서 자궁 동맥 색전술 (uterine artery embolization) 을 미국에서만 매년 약 13000-14000 명이 시술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국과 영국 산부인과 학회지에서도 공식적으로 그 효과를 인정하였다.

 

자궁 근종 색전술은 정상적인 월경, 임신 및 출산과 같은 자궁의 기능을 보존할 수 있고, 수술을 피할 수 있으며, 짧은 입원기간 (2박 또는 3박) 및 빠른 회복으로 조기에 일상생활에 복귀할 수 있으며, 한번의 시술로 여러 개의 자궁근종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으며, 근종의 위치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그 치료효과도 약 85-90 % 이상으로  매우 좋다. 특히 점막하 형태의 근종의 경우 근종이 질 밖으로 배출되어 종양이 완전히 없어지기도 한다.


또한 최근 연구들에 의하면 자궁동맥 색전술이 임신을 방해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어 임신을 원하는 여성에게도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세브란스 고흥규전문의(영상의학과), 을지대학병원

 

부작용

 

부작용이 없는 치료가 없듯이 비록 다른 치료에 비하면 미미 하지만 안타깝게도 아래 3가지가 있습니다.

1. 통증 -- 거의 모든 환자에서 시술 당일날 근종이 괴사됨과 동시에 매우 아픕니다. 진통제를 투여하면

                서 하루를 보내셔야   됩니다.  아픈만큼 좋아지신다고 생각하시면 틀림 없습니다.

                하지만 대개의 경우, 하루만 고생하시면 그 다음날은 첫날의 5분의 1 또는 10분의 1

                 정도로 줄어 듭니다. 

2. 감염 -- 3% 내외의 환자에서 괴사된 근종에 감염이 일어 납니다. 감염이 되었을 경우, 항생제 치료

                 로  거의 대부분 완쾌되지만 0.3% 에서 감염이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경우, 자궁을 적출 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말 드물죠.    

3. 난소 기능 부전---- 색전 물질이 바로 옆에 붙어 있는 난소 장기로 역류되어 난소의 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폐경) 가 5% 에서 발생하지만 대부분 환자의 나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환자 나이가 45세 가 넘는 경우, 합병증이 일어날 확률은 올라갑니다.

                               40세 미만인 경우라면 걱정 안해도 되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