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詩관련

이미지즘 2

휘수 Hwisu 2007. 5. 11. 20:41

이미지즘(Imagism)

현대시 운동, 1910년대에 영국·미국에서 전개된 반()낭만주의 시운동,사상주의()라고도 한다.

이미지즘(Imagism)은 20세기 초 영미시인들의 합작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시운동이다.확고하고 선명하게 그리고 명확한 이미지를 사용할 것을 주장하는 흄(T.E.Hulme)의 영향을 받아서,1차 대전 직전에 런던에 거주하던 에즈라 파운드(Ezra Pound)가 촉진시킨 이미지스트 운동은 시에 있어서 낭만주의의 애매성과 안이한 주정주의에 대한 반명제로 나타난 것이다.


이 운동은 대서양의 양편에서 동시에 진행되었고, 그 초기의 회원으로는 아미 로우얼(Amy Lowell).리차드 올딩틴(Richard Aldington).힐다 둘리틀(Hilda Doalittle).존 굴드 플레처(John Gould Fletcher). 그리고 플린트(F.S.Flint)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운동은 단명하였고, 이 운동에 관계한 시인의 수 역시 얼마되지 않았지만, 그들의 시와 시론이 현대시에 끼친 영향은 대단히 큰 것이다.


플린트가 1913년 3월에 발표한 <이미지즘>(Imagism)에도 설명되었듯 이 "사물을 직접적으로 다룰것, 이미지 표현에 도움이 되지 않는 말을 절대로 쓰지말 것, 연속되는 음악적 문구로 리듬을 창조할 것"등은 무엇보다 정확한 이미저리와 자유로운 리듬을 강조한 것으로서,그들로 하여금 종래의 애매하고 안이한 시와 구분짓게 하는 현대시의 가장 뚜렸한 징표가 되어준다.비록 그들의 시세계가 각각 그 내용을 달리하고 모두가 현대시로서 성공한 것은 아니지만,그러나 그들은 다양성 속에서 어떤 통일성을 지향하는 공동목표를 가지고 있었던 것만은 틀림이 없다.특히 그들의실지 시작품에서 보다 오히려 그들이 내세운 시론,이른바 이미지를 강조하고 시는 존재하여야 한다는 주장은 현대시 운동의 이론적 바탕이라는 점에서 크게 주목할 만한 것이다.


그들의 관심은 주로 종래의 개념화 내지 감정화의 낭만주의적 예술관을 거부하고 고전주의적 예술관을 모색하는 일이다.말하자면 그들은 낭만주의의 막연한 정신편향, 센티멘탈리즘에 반대하고,벽돌을 쌓아올리는 듯한 정밀함과 억제력을 요구하는 고전적 태도를 한결같이 지향한다.그만큼 시의 특색을 선명하고도 적절한 이미지와 질서에서 구하였다.

 

이미지즘의 배경과 특징

이미지즘이 하나의 시운동으로서 19세기 영.미詩의 전통을 청산하고 현대시의 시대로 넘어오는 결정적 계기가 되고, 그 이후의 詩에 많은 영향을 끼친것은 그들에게 우수한 지도자가 있었고, 이를 뒷받침하는 견실한 이론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형이상학파 T.E.흄과 애즈라 파운드의 중세문학과 동양시에서 영향을 받은 의(Neo)고전주의 시론이 바로 그것이다. 거기에다가 프랑스 상징파 시운동의 영향도 외면할수 없다.

이미지즘의 이론적 배경이 되었고 세계 1차 대전에서 전사한 젊은 철학자 T.E.흄은 종래 낭만주의 문학의 주관주의와 모호성을 공격 하였으며,일반 에술에 있어 객관성과 지적 훈련은 물론 시에 있어서의 'dry(건조하고) hard(견실한) 이미지를 강조 하였다. 흄 은 자신의 논문집 "思索錄(speculation)"에 수록한 '낭만주의와 고전주의' 에서 그는 낭만주의가 한숨과 눈물을 동반하여 흐리고 축축한 것은 시인들이 현실을 인간 중심으로 생각하여 인간에게 절대적 권위를 부여 한데서 기인 한다고 말하고, 이제 새로운 시대의 문학은 그러한 인간중심의 현실안목 에서 벗어나 다시 고전주의적 현실 안목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주로 시각적인 이미지와 언어의 긴축미,새로운 음율을 내세웠고,또한 그것 자체가 자족적인 가치를 가진것으로 생각하였다. 이미지는 시각적이고 구체적인 언어이기 때문에 그는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것을 거부한다.그래서 그는 시의 세 가지 목표로서 정확.정밀.명확을 내세운 것이다.그리하여 그는 "사물의 정확한 윤곽을 얻기 위하여는 시각적 이미지를 구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시는 결국 이미지와 메타포로 바꾸어 놓음으로써 의미의 정확한 전달이 가는하다는 것이다.흄에게 있어 시의 이미지는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직각적 언어의 정수"(the very essence of an intuitive language)이다.


가을 밤의 싸늘한 感觸-
나는 밖을 걷고 있었다.
그래서 붉은 달이 생나무 울타리에 기댄 것을 보았다.
마치 얼굴 붉은 農夫처럼
나는 말은 안 했지만 고개를 끄덕였다.
그 주변엔 무엇인가 바라는 것 같은 별들이
도시의 아이들처럼 흰 얼굴을 하고 나와 있었다.


a tauch of cold in the autumn night-
I walked abroad,
and saw the ruddy moon lean over a hedge
Like a red-farmer.
I did not spead, but nodded,
and round about were the wistful stars
With white faces like town children.


----<가을> 에서

<가을>(Autumn)이라는 이 시는 이미지즘 시의 대표적인 것 중의 하나다.시의 내용은 간단하나 그 기교와 태도는 전혀 새로운 것이다.그만큼 흄은 흐리고 축축한 낭만주의적 색채를 일소하고 '드라이하고 단단한'이미지 위주로 시를 쓰고 있었다.흄의 마음 속엔 달이 '붉은 달'로 보였고,별은 '도시의 아이들 처럼 흰 얼굴'로 떠 오른 것이다.T.S.엘리어트(Eliot)가 이 시를 영어로 쓰여진 가장 아름다운 시 중의 하나라고 격찬한 것은 이 때문이다.


무엇보다 시의 대 목표로 내세운 이러한 흄의 정확.정밀.명확의 시론은 그 후 E.파운드의 시론과 대체로 일치한다.그도 또한 시에서 막연하고 부정확한 낭만적 요소를 배제하고 좋은 산문처럼 간결하고 견실한 표현을 목표해야 한다고 하였다.'간결하고 견실한 언어' '리듬과 의미의 일치''틀에 박힌 文句나 관용적 표현의 거부'.형용사는 장식이 아니고,바로 내용' 등이 그의 이미지즘 詩論의 핵심이 되어준다. 특히 그는 시가 이미지로써 그것도 기능적 이미지로써 표현되었을때,그것은 좋은 산문처럼 간결하고 정확해진다고 하였다. 그는 객관성과 정확성을 무엇보다 강조한 시인이다.

군중들 사이에서 홀연히 나타난 이 얼굴들,
축축한 검은 가지의 꽃잎들.

The apparition df these faces in the crowd;
Petals on a wet, black bough

이 시는 파운드의 시집 <假面>(Personae)에 실린 <지하철 정거장에서>(In a station df the metro)이다.파리의 지하철 정거장에서 차를 타려고 기다리는 군중들 사이에서 뚜렷이 드러나는 아름다운 얼굴들의 인상을 컴컴하고 축축한 정거장을 배경으로 피어난 꽃잎에 비유하여 이미지를 조소하여 놓았다.이때 꽃잎은 이 때 꽃잎은 그 때 시인이 지하철 정거장에서 직접 느꼈던 정서의 등가물로서 엘리어트의 이른바 객관적 상관물과 비슷한 것이다.
파운드는 스스로 이 시를 두고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3년전에 나는 파리의 라 꽁꼬르드에서 지하철에서 내려 갑자기 한 아름다운 얼굴, 그리고 또 다른 얼굴,그리고 또 다른 얼굴,그리고 한 아름다운 어린 아이의 얼굴,그리고 또 다른 아름다운 부인을 보고서, 그날 종일 그 인상 받은 것을 나타낼 말을 찾고자 애썼지만, 그 돌연한 감정만큼 가치있고 아름다운 말을 찾을 수가 없었다.....나는 30행의 시 한편을 썼지만 그것을 찢어버린 것은, 그것이 이른바'강열도 제2위'의 작품이었기 때문이다.6개월 후에 그 반 정도의 길이의 시를 썼고 1년 후에 2행의 글귀를 지었다.
우리가 어떤 사상의 맥락 속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고서는 그것이 무의미 하리라고 생각한다. 이런 종류의 시에서는 외부적.객관적인 것이 내적.주관적인 것으로 변하거나 그 속으로 투사되는 정확한 순간을 기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파운드는 현대시란 언어의 기능을 새로 개척하여 과거와는 다른 방법으로 언어를 구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흄과 마찬가지로 이미지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점.그리하여 그는 흄과 마찬가지로 이미지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점,시의 언어는 정확하고 구체적이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것은 그후 T.S.엘리어트에게 영향을 끼쳤으며,1917년에 발표된<전통과 개인의 재는>이라는 그의 논문에 반영되고 있다.파운드의 이미지즘 시론은 그가 주로 공부한 중세 라틴문학,한시에서 영향받은 바 크다.특히 상형문자로서의 한자는 '나무'나 '산'같은 객관적인 물건이 직접 취급되어,거기에 글 쓴 사람의 주관적인 설명이 없이 그 물건들의 의미가 암시되어 있다.파운드는 이렇듯 객관적이고 간결한 표현에 매혹되어 그 한자로 쓰여진 한시의 영역을 시도하기도 했다.李白의 시에서 보는 바와 같은 두드러진 시각적 요소와 상징성을 통하여 그는 선명하고 간결하고 고담한 형식 즉 시의 현대성을 찾았던 것이다. 그가 한자와 한시에 매력을 느끼고<中庸>.<大學>등 많은 중국의 고전을 번역한 것은 이 때문이다.

 

*요약*

 

1. 개념 : 1912년경 흄(T.E. Hulme)과 파운드(Ezra Pound) 등을 중심으로 한 영미 시인들에 의해 주창된 새로운 이론이다. 이들은 조지 왕조시대의 운문들의 무의미하고 형식적인 조사법(poetic diction, 시어법)과 형태들에 직접적으로 반발하여 각개의 이미지 표출에 있어서 완전에 가까운 정확성을 주장했다. 또한 그들은 균형 있는 자유시의 개념으로 음악적인 구절의 운율과 억양을 주장했으며, 예리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간략하면서도 본질적인 은유에 의한 단시를 그 특징으로 했다.


2. 발생 : 상징주의 시가 현대시에 영향을 끼치고 있을 대에 미국에서 영국으로 건너와 활동하고 있던 Pound를 중심으로 침체에 빠진 영국시의 전통에 새로 활기를 불어넣기 위한 방법으로 이미지즘 운동이 일어났다. 이 운동은 1909년에 발생하여 1917년에 끝난 현대시 운동이다. 사회적․역사적으로 세계 제1차 대전과 경제 대공황을 겪는 혼란이 있었으며 인간의 생존이 위협되는 어려운 시기였다. 그러나 이 시기에 문화적으로는 19세기 예술에 대한 결별이 이루어지고 현대문학의 새로운 기틀이 형성되었다. 영국의 철학자 T.E Hulme은 19세기의 낭만주의 사조를 거부하고 예리한 통찰력과 직관으로써 미술과 문학 등 문화 전반에 걸쳐 새로운 이념을 제시했다.


3. 주장 : 이러한 이미지즘은 기원을 살펴보면 고대 문학과 현대 문학에 관련된다. 고대 문학이라 함은 주로 희랍 문학과 라틴 문학을 말하는 것이고 거기에 중국 문학과 일본 문학을 더 끼워 넣는다. 그리고 현대 문학이라 함은 프랑스 현대 문학을 말하는 것이다. 모든 새로운 문학운동이라는 것이 과거의 것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것과 같이 이 새로운 시운동도 19세기 영국과 미국의 시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것이다.

 

이 운동의 목표는 ① 일상어의 사용, ② 새로운 리듬의 창조, ③ 제재의 자유로운 선택, ④ 명확한 사상(이미지)을 줄 것, ⑤ 집중적 표현을 존중할 것 등이다.

 

*Ezra Pound(에즈라 파운드)- (동아일보)*

 

조국(祖國)의 법정에서 반역죄로 재판을 받고 정신병원에 수용되어야 했던 시인.
이미지즘 운동을 촉발하며 현대시의 위대한 시대를 살았지만 이탈리아의 파시스트 정권을 옹호함으로써 반역사적인 범죄에 가담했던 시인 에즈라 파운드.


그는 1908년 자신이 태어난 ‘반은 야만스러운 나라’ 미국을 떠나 영국 런던에서 왕성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파운드의 주변에는 T S 엘리엇, 제임스 조이스 같은 20세기 영미문학의 거목들이 모여들었다. 그는 ‘시인들의 시인’답게 젊고 재능 있는 예술가들을 격려하고 집필을 거들었다. 엘리엇의 ‘황무지’ 초고를 반으로 쳐낸 것은 그였다.


그의 시의 자양(滋養)은 자연에서 건져 올린 생태학적 상상력이었다. 그는 예술가를 곤충의 촉수(觸手)에 비유하며 언어의 정확성과 명료성을 강조했다. “나쁜 예술은 부정확한 예술이다. 그것은 그릇된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이다.”


파운드는 1920년 ‘맛이 다 간 창녀’와도 같은 런던을 떠나 이탈리아에 정착한다.
이곳에서 무솔리니를 만난 파운드는 그가 “이탈리아에서 생산 문제는 해결되었다”고 선언하자

드디어 분배의 정의를 실현하려는 정부가 출현했다고 섣불리 판단했다.

그는 무솔리니를 토머스 제퍼슨에 빗대면서 “정신적이든 물질적이든 일종의 다이너마이트와 같은 형태로 충전된 천재”라고 찬사를 보냈다.
그는 2차세계대전 중 파시즘을 찬양하는 일련의 라디오 방송을 내보내는데 이런 말도 있었다. “어떤 천재가 있어 유대인을 몰아내려 한다면 그것만으로도 그를 지지해야 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
1945년 그는 미군에 체포됐다. 재판에서 정신병 환자로 판정받은 그는 12년 동안이나 병동에 갇혀 있다 엘리엇의 구명운동으로 풀려난다. 엘리엇을 세상에 알린 것은 그였지만 그를 다시 세상에 내보낸 것은 엘리엇이었다.
전시에 공공연히 적국을 찬양한 파운드. 그는 변명의 여지없는 반역자였으나 그의 시는 여전히 미국의 교과서에 실리고 있다.

 

출처,theple블로그,hoon0140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