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詩관련

[스크랩] 문학 이야기 - 詩의 창작

휘수 Hwisu 2005. 12. 25. 15:09

ꋎ 시의 정의 : 시란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을 운율(리듬) 있는 언어로 압축하여 표현한 글이다.

ꋏ 시의 요소
1. 시의 3대 요소
① 음악적 요소 : 시에 흐르는 리듬을 말한다.
② 회화적 요소 : 시의 이미지(심상)을 말한다. 읽으면 한 폭의 그림을 대한 듯한 느낌을 준다.
③ 의미적 요소 : 시의 사상과 정서(주제) 등을 말한다.

2. 시의 내용 요소
① 소재 : 시에 사용된 기본적인 재료. 즉 글감. 중심소재는 제재라고 함.
② 주제 : 시에 담긴 시인의 주된 생각이나 느낌
③ 이미지 : 어떤 시어를 듣거나 읽을 때 마음 속에 떠오르는 영상

3. 시의 형식 요소 :
  ① 시어 : 시에 쓰인 말
  ② 시행 : 시의 한 줄 한 줄
  ③ 연 : 시에서 한 줄 띄어 쓴 한 덩이
  ④ 리듬 : 운율
     ㉠ 운(韻) : 시행이나 연의 일정한 위치에서 같거나 비슷한 음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것

                     (두운, 요운, 각운 등의 음위율)
     ㉡ 율(律) : 소리의 강약, 고저, 장단, 또는 일정한 음절 수 등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

                     (음성률, 음수율)
  ⑤ 어조 : 시적 자아가 지니는 말투(여성적, 고백적, 남성적 기도적 등)

4. 시어의 특징
  ① 리듬 : 시어에는 리듬이 있다.
  ② 이미지 : 시어에는 이미지가 많다.
  ③ 함축적 의미 : 시어에는 사전에 풀이된 뜻 이외에 다른 뜻을 더 함축하고 있는 것이 많다.
  ④ 세련된 정서
  ⑤ 압축성

   
 ☞보충 
수미쌍관법(首尾雙關法)
시의 처음과 마지막에 같은 내용의 구절을 반복해서 배치시키는 기법,

즉 머리와 꼬리가 쌍을 이루며 관련되게 시를 짓는 방법이라는 뜻으로

수미상관법(首尾相關法), 또는 수미상응(首尾相應)이라고도 한다.
이와같은 기법은 반복에 의한 운율로써 흥을 돋아나게 하고 의미를 강조하는 효과를 가져오며,

시적인 안정감을 느끼게도 한다.



ꋐ 운율(韻律)
시에 쓰인 말에서 느껴지는 가락. 가락이란 소리의 길이와 높낮이의 어울림을 말한다.
‘운’과 ‘율’은 본래 그 뜻이 다르지만 보통 하나로 묶어 운율이라고 한다.

1. 외형률 : 시의 표면에 흐르는 음악적 율동
  1) 음수율 : 시어의 일정한 음의 수가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데서 이루어지는 율조
  2) 음위율 : 같은 음을 시의 행이나 연의 일정한 자리에 배치함으로서 이루어지는 음악적인 율조.
    ① 두운(頭韻) : 시행의 처음에 일정한 음이 반복
    ② 요운(腰韻) : 시행의 중간에 일정한 음이 반복
    ③ 각운(脚韻) : 시행의 끝에 일정한 음이 반복
  3) 음성률 : 음의 고저, 장단, 강약 등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데서 이루어지는 율조
  4) 음보율 : 일정한 음보가 규칙적으로 반복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운율

☞보충
음보(音譜) : 낭독할 때 같은 길이로 읽혀지는 주기성의 최소 단위

(한 행이 자연스럽게 몇 걸음에 읽혀지는가에 따라 정해짐)

2. 내재율 : 일정한 규칙 없이 배열된 시어 속에 있는 운율(시의 내면에 흐르는 음악적인 율조).

시인의 개성적이며 독창적인 운율로서,

시를 읽어 가는 동안에 독자의 마음 속에서 은근히 느껴진다.
내재율은 주관적인 운율로서 행이나 연, 또는 작품 전체의 의미와 관련되어 있다.


☞보충

 운율을 이루는 요소 
  ① 동음 반복 : 특정한 음(음운)을 되풀이함.
  ② 동일어 반복 : 같은 단어․구절을 되풀이함.
  ③ 동일한 음수 반복 : 일정한 ‘글자 수’를 되풀이해서 늘어 놓음.
  ④ 의성어․의태어 사용 : 소리를 흉내낸 말이나 모양을 흉내낸 말을 사용함.
  ⑤ 짜임이 같거나 비슷한 시구(행, 연)의 반복 : 같거나 비슷한 구절. 대구법을 사용함


☞보충
운문과 산문
  ① 운문(韻文) : 운율(韻律)을 직접 느낄 수 있는 글. 현대시, 고대의 시가(詩歌)들이 다 운문에 속한다.
  ② 산문 : 운율을 직접 느낄 수 없는 글
     ㉠ 소설, 수필, 희곡 등의 문학과 일상적으로 쓰이는 줄글이 다 이에 속한다.
     ㉡ 시는 기본적으로 운문이지만 산문시는 산문의 형태로 쓰여진다.


☞보충
운율과 시의 의미
  ① 운율은 시의 뜻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② 운율은 시의 의미나 시인의 의도와 어울려 시의 전체적 분위기를 자아낸다.
  ③ 시의 감상(전체적으로 시를 음미함)에 있어서도 운율은 필수적이다.



ꋑ 심상( image)
1. 개념 : 심상이란 시어에 의해 마음 속에 떠오르는 어떤 사물에 대한 감각적 영상을 말한다.

즉 이미지는 감각적 체험을 지적(知的)인 사고 과정을 거쳐 재생(再生)한 것이다.

현대시들은 마음 속에 어떤 영상을 떠오르게 하는 데 중점을 둠으로,

감상할 때에는 체험과 상상력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시를 읽고 정서적 쾌감이나 대상에 대한

감각적인 인식의 공감을 얻기 위해서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2. 종류
  ① 시각적 이미지 : 눈(모양․빛깔)을 통하여 느낄 수 있는 심상
      ꃚ 지나가던 구름이 하나 새빨간 노을에 젖어 있었다. 「김광균, 외인촌」
  ② 청각적 이미지 : 귀(소리)로 느낄 수 있는 심상
      ꃚ 접동접동/아우래비 접동 「김소월, 접동새」
  ③ 후각적 이미지 : 코(냄새)로 느낄 수 있는 심상
      ꃚ 어마씨 그리운 솜씨에 향그러운 꽃지짐 「김상옥, 사향(思鄕)」
  ④ 촉각적 이미지 : 피부(감촉)로 느낄 수 있는 심상
      ꃚ 젊은 아버지의 서느런 옷자락 「김종길, 성탄제」
  ⑤ 미각적 이미지 : 혀(맛)로 느낄 수 있는 심상
      ꃚ 집집 끼니마다 봄을 씹고 사는 마을 「김상옥, 사향」
  ⑥ 공감각적 이미지 : 두 종류 이상의 감각이 결합되어 표현되는 심상

☞보충
공감각적 심상(共感覺的 心想)
공감각적 심상이란, 본래의 감각과 동시에

다른 영역의 감각도 함께 일으켜짐으로써 생기는 심상이다.

두 개의 서로 다른 감각(복합 감각)이 나란히 제시된 경우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ꃚ ① 푸른(시각) 휘파람 소리(청각) (청각의 시각화)
‘         휘파람 소리’(청각)를 시각적으로 표현한(전이시킨) 공감각
       ② 향기로운 님의 말소리에 귀먹고 꽃다운 님의 얼굴에 눈멀었습니다.(청각의 후각화)
       ③ 깊은 바닷소리/나의 피의 조류를 통하여 오도다.(청각의 촉각화)
     ※ 파란 하늘로(시각) 꽝, 꽝 울려 퍼지는 대포 소리(청각) 
         시각과 청각이 합쳐진 복합 감각

3. 심상의 효과
   ① 시어를 통해 우리의 마음 속에 감각을 재생시킨다.
   ② 의미를 전달하거나 어떤 정서나 분위기를 환기시킨다.
   ③ 시적 상황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게 한다.
   ④ 추상적인 관념을 구체화할 수 있다.
   ⑤ 독자에게 반응을 유도하여 시의 정서와 연결시킨다.
   ⑥ 시어의 함축성과 긴축미를 높인다.

4. 심상의 요건
   ① 시의 주제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② 신선하고 독창적이며, 감각적인 체험의 재생이어야 한다.
   ③ 비유나 상징 등의 기교와 결합되어야 한다.

5. 심상의 표현 방법에 따른 구분
   ① 묘사적(서술적․감각적․심리적) 심상 : 묘사나 서술

       또는 간단한 심리․감각에 의해 직접적으로 드러   나는 심상.
       ꃚ 어두운 방안엔 빠알간 숯불이 피고(시각적)
   ② 비유적(은유적) 심상 : 직유․은유․대유․의인 등의 비유적인 언어에 의해 드러나는 심상
       ꃚ 향료를 뿌린 듯 곱다란 노을 위에(직유)
   ③ 상징적 심상 : 어떤 사물을 표상하고 상징에 의해 드러나는 심상
       ꃚ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들-조국, 봄-광복)



ꋒ 시의 종류
1. 형식상의 종류
   ① 정형시 : 일정한 형식(틀)에 맞추어 쓴 시. ꃚ 시조
   ② 자유시 : 정형시가 지니고 있는 운율적․형식적 제약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형식
   ③ 산문시 : 시의 내용을 연과 행의 구분 없이 산문처럼 표현한 시

2. 내용상의 종류
   ① 서정시 : 개인의 주관적인 정서와 감정을 표현한 시
   ② 서사시 : 한 나라의 역사, 영웅, 신의 이야기 등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노래한 시
   ③ 극 시 : 극적인 내용을 시적 언어로 표현한 시

3. 목적상의 종류
   ① 순수시 : 예술성을 추구한 시 ꃚ 김영랑 ꡐ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ꡑ
   ② 참여시 : 목적 의식을 중시한 시 ꃚ 김수영의 ꡐ풀ꡑ

4. 경향상의 종류
   ① 주정시 : 개인의 정감과 정서를 노래한 시
   ② 주지시 : 이성과 심상을 중시하며 물질문명을 비판한 시
      ꃚ 김광섭,ꡐ성북동 비둘기ꡑ
      ꃚ 김광균, 와사등
   ③ 주의시 : 인간의 의지의 측면을 중시한 시 ꃚ 유치환, 바위


ꋓ 시의 화자
   1. 정의 : 시의 화자란 시인이 자기의 생각이나 느낌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하여 고안해 낸 방법적 장치를 말한다.

      즉 누구를 통해서 어떻게 말하느냐하는 방법적 틀을 말한다. 
      시의 효과적
      표현

     시의 화자
    〈  〉기법적 장치. 방법적 틀 = 시의 목소리

시의 효과적
의미 전달


 2. 기능 : 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해 낸 시의 목소리

 3. 종류 : 남성, 여성, 어린이 등
   ① 남성 : 힘찬 의지나 역동적인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
   ② 여성 : 섬세한 감정이나 가녀린 분위기를 표현
   ③ 어린이 : 동심의 표현

4. 화자와 청자의 유형
   ① 화자가 바로 시인이며 화자와 청자, 화제가 다 드러난 경우(극적지향형)

        : 자전적인 내용을 말하는 경우가 많다.
       ꃚ 아, 너도 먼동이 트기 전으로 수밀도의 네 가슴에 이슬이 맺도록 달려 오너라.
      - 이상화. 나의 침실로 -
   ② 화자만 드러나 있는 경우(화자지향형) : 말하는 이가 ‘나’로 드러나고

       상대방에게 전달하려는 의도보 다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는 데 중점을 두는 경우가 많다.
      ꃚ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 김소월. 진달래 꽃 -
      ꃚ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나는 날
        - 천상병, 귀천(歸天)-
   ③ 청자만 드러난 경우(청자지향형) : 청자 지향적이라는 점에서 메시지 전달이 목표가 된다.
      ꃚ 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 김소월. 엄마야 누나야 -
      ꃚ 껍데기는 가라. 4월의 알맹이만 남고 껍데기는 가라. -신동엽, 껍데기는 가라- 
   ④ 화자와 청자가 다 숨어 있는 경우(화제지향형) : 상황 제시적이고 상징성을 지니며,

       문맥의 의미를 중시하며 객관적이고 형상화가 잘 되어 있다.
      ꃚ 풀이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울고/

          바람보다도 먼저 일어난다. - 김수영. 풀 -
   ⑤ 화자가 시인 자신이지만 화자. 청자가 다 드러나지 않은 경우

       : 화자의 의지가 내면적으로 함축되어 있어서 객관화 되어 있다.
      ꃚ 이러매 눈감아 생각해 볼 밖에/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 이육사. 절정 -


ꋔ 비유와 상징
1. 비유
  1) 비유의 뜻 :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원관념)을 그와 유사한 다른 사물(보조 관념)에

     빗대어 나타내는 표현
  2) 비유의 종류
     ① 직유법 : 연결어(~처럼, ~같이, 인 듯 등)를 써서 두 사물의 유사성을 비겨서 표현.
          ꃚ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보조 관념 원관념
     ② 은유법 : ‘A는 B다’, ‘A의 B’ ꡐA인 Bꡑ와 같은 형식으로

         두 사물의 동일성을 비기는 표현 방법    

         ꃚ 오월은 계절의 여왕이다.
            A(원관념)는 B(보조 관념)다.
     ③ 의인법 : 사람이 아닌 생물이나 무생물에 인격을 부여하여 비유하는 방법.
        ꃚ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목마른 대지
    ④ 대유법 : 어떤 대사의 부분, 속성, 특징 등을 통해 전체를 대신하는 표현 방법.
        ꃚ 사람은 빵만으로 살 수 없다.(식량, 먹는 것)
        ꃚ 샤일록만 사는 마을이다.(구두쇠)
        ꃚ 사람을 바지저고리로 아느냐(못난 사람)
    ⑤ 풍유법 : 속담, 격언 등과 같이 원관념은 나타내지 않고

        보조 관념만 드러내어 본뜻을 독자가 미루   어 짐작하게 하는 표현 방법.
        ꃚ 빈 수레가 요란하다.
           까마귀 싸우는 골에 백로야 가지 마라.
    ⑥ 과장법 : 사물을 실제보다 과장하는 표현
        ꃚ 하늘을 찌르는 높은 산
    ⑦ 반복법 : 같은 단어나 구절을 되풀이하는 표현
        ꃚ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⑧ 점층법 : 작고 약한 것으로부터 크고 강한 것으로 확대해 나가는 표현
        ꃚ 나와 가족과 사회와 민족
    ⑨ 열거법 : 비슷한 어구를 나열하는 표현
        ꃚ 새도, 나무도, 사람도 살지 않는다.
    ⑩ 설의법 : 의문형을 사용하여 강조하는 표현
        ꃚ 어찌 그를 잊겠습니까?
    ⑪ 역설법(Paradox) : 언어와 언어와의 모순(矛盾)에 의한 표현 기교
        ꃚ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 ꃚ 찬란한 슬픔의 봄
        ꃚ 거룩한 분노 ꃚ 어린애는 어른의 아버지 ꃚ 눈 뜬 장님
    ⑫ 반어법(Irony) : 언어와 상황과의 모순에 의한 표현 기교
        ꃚ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⑬ 대조법 : 서로 내용상 상반되는 사물을 맞 세워 표현
        ꃚ 천 길 땅 밑을 검은 물로 흐르거나
           도솔천의 하늘을 구름으로 날더라도 -서정주, 춘향유문-
    ⑭ 대구법 : 구조나 형태가 비슷한 어구를 짝지어 표현
       ꃚ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ꃚ 하늘에는 달이 없고 땅에는 바람이 없습니다.
          사람들은 말이 없고 나는 마음이 없습니다. - 한용운, 고적한 밤-
    ⑮ 도치법 :정상적인 언어 배열 순서를 바꾸어 놓음으로써

        의외로움이 주는 신선한 느낌을 주는 표현
       ꃚ 아아, 누구인가. 이렇게 슬프고도 애달픈 마음을
          맨 처음 공중에 달 줄을 안 그는. -유치환, 깃발-
   3) 비유의 형성 : 유추에 의해 형성됨.
      원관념
     유사성
     공통성 
     보조 관념

    ( 유추 )
      ↖ ↗
    상관 관계 성립
    내마음
    (원관념)


     호 수
    (보조 관념)

   ꁿ
   유추

   ꁿ
   -공통 속성-
  맑다. 고요하다. 그윽하다. 파문이 인다. 포용한다.

   ↓ 
   비유에 의한 심상

   ↓
   내 마음의 시적 표현


  4) 비유의 효용성 : 표현 대상에 대한 구체성, 선명성을 높이고,

     함축적이고 복합적인 연상을 불러 일으킴. 

 2. 상징
  1) 상징의 개념
     ① 어떤 사물이 그 자체의 의미를 유지하면서도 다른 의미를 내포하는 표현 방법
     ② 비가시적인 관념이나 정신을 가시적인 구체적인 사물을 통해 표현하는 방법
  2) 상징의 종류
     ① 기호적 상징 : 문자, 부호, 도형 등이 지니는 상징
     ② 제도적 상징(관습적 상징) : 오랜 세월을 두고 되풀이 하여 사용되어

       관습적으로 널리 보편화된 상징 ꃚ 비둘기 → 평화. 백합 → 순결
     ③ 개인적 상징(창조적 상징) : 개인이 독창적으로 창조하여 문학적 효과를 얻는 상징
       ꃚ 이상(李箱)의 ‘날개’ → 욕구 불만의 현실로부터의 탈출
       ꃚ 김광섭의 ꡐ성북동 비둘기ꡑ→ 소외된 인간, 파괴된 자연
     ④ 원형적 상징 : 원형적 모티브(인생 또는 문학에서 끊임없이 되풀이되어 나타나는

        기본적 상황, 심상)에 의해 이루어지는 심상
       ꃚ 물 → 생성, 풍요, 창조


ꋕ 시의 특징
   ① 시는 언어 예술이다.
   ② 시에는 운율이 있다
   ③ 생각과 느낌이 정서적으로 정화되어 나타난다.
   ④ 극도로 압축된 형식의 문학이다.
   ⑤ 미의 세계를 창조하여 예술적인 감동을 준다.


ꋖ 시의 주제
1. 뜻 : 시에 표현된 기본적인 생각이나 느낌을 말한다.

          시의 주제는 시의 내용 요소에 속하며,

          시를 통하여 나타내고자 하는 시인의 중심 사상이나 의미이다.
  주제
     - 시의 내용 요소
     - (중심 사상, 중심 의미)

2. 주제를 나타내는 방법 : 시는 시인의 정서를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글이므로

    비유나, 이미지, 상징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형상화되어야 한다.
  주제
      ⇨ 간접적 형상화 
  비유, 상징, 이미지 
      ⇨ 독자


ꋗꋍ 시상 전개 방식
1. 시상 전개 방식이란
    시상(詩想)이란 시에 담긴 시인의 생각이나 상념을 말하는 것으로,

    시인은 이러한 자신의 시상을 일정한 질서에 의해서 한 편의 시로 조직해 나간다.

    때론 논리적 질서로,시간의 흐름이나 대상의 변화에 따라, 시선의 이동에 따르기도 한다.

    이러한 질서가 바로 시상의 전개라 할 수 있다.
    시상 전개 방식을 파악하는 것은 시 전체의 특징,

    더 나아가 그 시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시인의 사상이나 정서,

     즉 주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시상 전개 방식의 유형
    시상 전개 방식은 시인에 따라, 또 각 작품에 따라 참으로 다양하다.

    또 어떤 작품이 특정한 시상 전개의 방법 하나에만 의지하는 경우보다

    여러 가지 시상 전개 방법이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1) 기승전결(起承轉結) : 한시, 시조 등에서 흔히 발견되는 가장 전통적인 방법
      전개 방법 : 시상 제시(起) →시상의 반복 심화(承) →시적 전환 시도(轉) →중심 생각

      또는 정서의 제시(結). ꃚ 『서정주, 국화 옆에서』
  2) 선경후정(先景後情) : 사물 또는 풍경을 그리듯이 보여주고

      그 다음에 시적 화자 의 정서를 표출하는 방법.
      전개 방법 : 서경(敍景) → 서정(敍情) ꃚ 「장만영, 달․포도․잎사귀」
  3) 시간적 흐름
      전개 방법 : ꡐ과거→현재→미래ꡑ, ꡐ봄→여름→가을→겨울ꡑ, ꡐ회상→현실ꡑ등
        ꃚ 과거(1,2,3연) →현재(4연)→미래(5연) 「이육사, 광야」
  4) 시선의 이동
     전개 방법 : ꡐ아래→위ꡑ, ꡐ위→아래ꡑ, ꡐ먼 곳→가까운 곳ꡑ, ꡐ가까운 곳→먼 곳ꡑ등
        ꃚ 저고리 → 치마 →운혜, 당혜(수직적 순서에 의한 시선의 이동) 「조지훈, 고 풍의상」 
  5) 연상 작용
     전개 방법 : 하나의 시어가 주는 이미지를 통해 이와 관련된 다른 관념으로

     꼬리 에 꼬리를 무는 방식으로 시상을 전개함.
       ꃚ 건반을 두드리는 여인의 손가락→( 피아노의 선율) →펄펄 뛰는 물고기 연 상

          →시퍼런 파도 연상 →날이 시퍼렇게 선 칼날 연상. 「전봉건, 피아노」

 


 
출처 : 블로그 > 들꽃 향기 | 글쓴이 : 세실 [원문보기]